
老少之睡不同 노인과 젊은이가 잠자는 것이 다르다 황제가 "노인은 밤에 잘 자지 않고, 젊은이는 낮에 잘 자지 않는 것은 무슨 기운 때문에 그렇게 되는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젊은이는 기혈이 왕성하고 기육肌肉이 매끄럽고 기가 도는 길이 잘 통하여 영기와 위기가 도는 것이 정상 상태를 잃지 않으므로 낮에는 정신이 맑고 밤에는 잔다. 그러나 노인은 기혈이 쇠약하고 그 기육이 마르고 기가 도는 길이 막혀서[澁] 오장의 기운이 서로 충돌하게 되고 영기가 쇠약해져서 위기가 안으로 들어가 대신하게 되므로[榮氣를 치게 되므로] 낮에는 정신이 맑지 못하고 밤에는 자지 못한다"고 하였다(『영추』).

虛煩不睡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 『영추』에서는 황제가 "눈을 감지 못하고 자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무슨 기운이 그러하게 하는가"라고 물었다. 백고가 대답하였다. "위기는 낮에는 양의 부위에서 돌고 밤에는 음의 부위에서 도는데 족소음경맥을 따라서 오장육부로 들어간다. 그런데 궐기厥氣가 장부에 침입하면 위기가 홀로 몸의 겉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양에서만 돌게 된다. 그러면 [몸 겉의] 양기가 성해지는데 양기가 성해지면 양교맥의 기가 가득 차게 된다[陷]. 위기가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음기가 허해지기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다. 반하탕 한 제를 먹으면 음양이 잘 통하게 되어 곧 잠이 온다. 그 처방은 다음과 같다. 천리 밖에서부터 흘러온 물 여덟 되를 만 번 휘저어..

昏沈多睡 정신이 혼미하고 잠이 많은 것 『영추』에서는 "족태양경은 목덜미를 통하여서 뇌로 들어가 바로 눈에 속하는데 이를 안계眼系라고 한다. 목덜미의 가운데 양 힘줄 사이를 지나서 뇌에 들어가 음교맥과 양교맥으로 나뉜다. 이 두 경맥의 음양이 서로 사귀어서 양은 음으로 들어가고 음은 양으로 나오는데, 목예자目銳眦(마땅히 목내자目內眦라고 하여야 한다)에서 사귄다. 양기가 성하면 눈을 부릅뜨고 음기가 성하면 눈을 감는다"고 하였다. ○ 위기衛氣가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늘 양에 머무르게 되는데 양에 머무르면 양기가 가득 찬다. 양기가 가득 차게 되면 양교맥이 성하며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눈을 감지 못한다. 또한 위기가 음에 머무르게 되면 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위기가 음에 머무르면 음기가 성하게 ..

陽氣之出入爲寤寐 양기가 드나드는 데 따라 자거나 깨어난다 『영추』에서는 "위기衛氣가 낮에는 양陽의 부위를 돌기 때문에 눈을 뜨고 깨어나며, 밤에는 음陰의 부위를 돌기 때문에 눈을 감고 잔다"라고 하였다. ○ 정현鄭玄은 "입과 코로 숨쉬는 것은 혼魂의 작용이고, 귀가 잘 들리고 눈이 잘 보이는 것은 백魄의 작용이다. 귀와 눈을 입과 코에 비유하여 말하면 입과 코는 양陽이고, 귀와 눈은 음陰이다. 귀, 눈, 입, 코를 장부臟腑와 비유하여 말하면 귀, 눈, 입, 코는 양이고, 장부는 음이다. 그러므로 양기가 몸의 겉에서 양분陽分을 25번 돌면 귀, 눈, 입, 코가 모두 양기를 받게 되어 지각하고 보고 듣고 움직여서 깨어 있을 수 있게 된다. 양기가 장부의 속에서 음분陰分을 25번 돌면 귀, 눈, 입, 코에 양..

五臟虛實爲夢 오장의 허와 실에 따라 꿈이 된다 간기肝氣가 허하면 꿈에 버섯이나 싱싱한 풀이 보이며, 실하면 나무 아래에 엎드려서 일어나지 못하는 꿈을 꾼다. 심기心氣가 허하면 꿈에서 불을 끄거나 양陽에 속하는 사물이 보이고, 실하면 불타는 꿈을 꾸게 된다. 비기脾氣가 허하면 음식이 부족한 꿈을 꾸고, 실하면 담장을 쌓고 지붕을 덮는 꿈을 꾼다. 폐기肺氣가 허하면 꿈에 흰 것이 보이거나 사람이 베어져서 피가 흥건한 것이 보이고, 실하면 병사들이 싸우는 것이 보인다. 신기腎氣가 허하면 꿈에 배가 보이거나 물에 빠진 사람이 보이고, 실하면 물에 빠져 두렵고 무서워하는 꿈을 꾼다(『내경』).

淫邪發夢 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 황제가 물었다. "음사淫邪가 퍼져서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기백이 "정사正邪는 밖으로부터 몸 안으로 침입하는데, 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어서 도리어 장부로 스며든다. 일정하게 머물 곳을 얻지 못하고 영위榮衛와 더불어 돌아다니며 혼백과 함께 떠돌아다니므로 잠자리가 불안하고 꿈을 잘 꾸게 된다. 그러므로 음기陰氣가 성하면 큰물을 건너게 되어 두려워하는 꿈을 꾸고, 양기陽氣가 성하면 큰불이 타오르는 꿈을 꾸고, 음양 모두가 성하면 서로 죽이는 꿈을 꾸게 된다. [사기가] 상초上焦에서 성하면 날아다니는 꿈을 꾸고, 하초下焦에서 성하면 떨어지는 꿈을 꾼다. 몹시 배고프면 무엇을 갖는 꿈을 꾸고, 몹시 배부르면 무엇을 주는 꿈을 꾼다. 간기肝氣가 성하면 성내는 꿈을 꾸고, 폐기..

魂魄爲夢 혼백이 꿈이 된다 꿈이란 모두 혼백이 사물에 작용하여 꾸는 것이다. 또한 "몸이 사물과 접하면 일이 생기고, 신神이 사물과 마주치게 되면 꿈을 꾼다"고 하였다(『의방유취』). ○ 옛날의 진인眞人은 잠을 자면서 꿈을 꾸지 않았는데, 잠을 자면서 꿈을 꾸지 않은 것은 신神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기 때문이다(『정리』). ○ 심心이 실實하면 근심하거나 놀라거나 괴상한 꿈을 꾼다. 심이 허하면 혼백이 들떠서 어지럽게 꿈을 많이 꾼다. 별리산, 익기안신탕을 쓴다(『의학입문』). ○ 사기가 침범하여 혼백이 불안해지는 것은 혈기가 적기 때문이다. 혈기가 적은 것은 심에 속한다. 심기心氣가 허한 사람은 두려움이 많고 눈을 감고 자려고 하며, 멀리 떠나는 꿈을 꾸고 정과 신이 흩어지고 혼백이 제멋대로 돌아다니게 ..

혈병 鍼灸法 침구법 코피가 나거나 피를 토하거나 아래로 피를 쏟으면 은백, 대릉, 신문, 태계에 침을 놓는다(『역로』). ○ 코피에는 신회와 상성에 뜸을 뜬다(『침구자생경』). ○ 코피에 대추, 아문에 뜸을 뜨면 곧 그친다(단심). ○ 코피가 그치지 않는데, 삼릉침으로 기충에 출혈시키면 바로 낫는다(동원). ○ 코피에는 상성, 풍부, 아문, 합곡, 내정, 삼리, 조해에 놓는다(『의학강목』). ○ 토혈에는 풍부, 대추, 전중, 상완, 중완, 기해, 관원, 삼리에 놓는다(『의학강목』). ○ 토혈에는 대릉에 뜸을 뜬다(『세의득효방』). ○ 구혈에는 상완, 대릉, 극문, 신문에 놓는다(동원). ○ 관맥에 규芤맥이 나타나고 대변으로 피를 여러 말 흘리는 것은 격수가 상하였기 때문이니 격수에 뜸을 뜬다(『맥경』)...

治血藥法 혈병에 약쓰는 법 주진형은 "혈을 치료하는 약을 쓸 때는 그저 피를 돌리는 약이나 막는 약만을 써서는 안된다. 차고 서늘한 약만 써서도 안 되며, 반드시 맵고 따뜻하면서 위로 올라가는 약을 더하여서 쓴다. 서늘한 약을 쓸 때는 술에 찌거나 술에 축여 볶아 쓰는데, 이것은 약이 차기 때문에 덥게 하여 쓰는 것이다" 또 "혈증血證을 오래 앓아서 혈이 돌아갈 곳으로 돌아가지 못하여 약을 오래 먹어도 낫지 않는 데는 천궁을 군약君藥으로 쓰면 낫는다"고 하였다. ○ 대체로 혈이 열을 만나면 잘 돌고 찬 기운을 받으면 엉기며 검은 것[黑]을 만나면 그친다(단심). ○ 구혈嘔血이나 토혈吐血을 할 때 피가 많지 않으면 반드시 흉격에 어혈이 쌓인 것이니 먼저 어혈을 없앤 다음 피를 서늘하게 하여[凉血] 피를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