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昏沈多睡 정신이 혼미하고 잠이 많은 것
『영추』에서는 "족태양경은 목덜미를 통하여서 뇌로 들어가 바로 눈에 속하는데 이를 안계眼系라고 한다. 목덜미의 가운데 양 힘줄 사이를 지나서 뇌에 들어가 음교맥과 양교맥으로 나뉜다. 이 두 경맥의 음양이 서로 사귀어서 양은 음으로 들어가고 음은 양으로 나오는데, 목예자目銳眦(마땅히 목내자目內眦라고 하여야 한다)에서 사귄다. 양기가 성하면 눈을 부릅뜨고 음기가 성하면 눈을 감는다"고 하였다.
○ 위기衛氣가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늘 양에 머무르게 되는데 양에 머무르면 양기가 가득 찬다. 양기가 가득 차게 되면 양교맥이 성하며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눈을 감지 못한다. 또한 위기가 음에 머무르게 되면 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위기가 음에 머무르면 음기가 성하게 된다. 음기가 성하면 음교맥이 가득 차서 양으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눈이 감긴다(『의학입문』).
○ 상한傷寒의 사기가 음으로 전하여 들어가면 잠이 많아진다. 정신이 흐려지며 눈을 감는 것은 음이 닫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가만히 있으면서 말하려 하지 않는 것은 음이 조용한 것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태양증太陽證이 이미 풀려서 잠을 많이 잘 때는 약을 쓸 필요가 없다. 양명증陽明證에 열이 속에 숨어서 잠을 많이 잘 때는 소시호탕을 쓴다. 소음증少陰證은 맥이 미세微細하고 오직 잠만 자려고 한다. 대개 깨어 있으면 [위기가] 양의 부위에서 돌고 잠들면 음의 부위에서 도는데, 반드시 족소음足少陰에서 시작한다. 그러므로 소음병에는 단지 자려고만 하는데, 이때는 복령사역탕을 써서 음을 더하여주고 양기를 회복시킨다. 혹 열병에 땀을낸 다음 맥이 침세沈細하고 몸이 차고 눕기를 좋아하고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할 때도 빨리 사역탕을 써서 팔다리를 따뜻하게 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깊이 잠들었다가 죽을 수도 있다. 땀을 낸 후에 푹 자는 것은 정기正氣가 이미 회복된 것이니 약을 쓸 필요가 없다(『의학입문』).
○ 풍온風溫으로 잠을 많이 자거나 호혹狐惑으로 잠을 많이 자는 경우가 있다(모두 본문에 있다).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보감] 老少之睡不同 노인과 젊은이가 잠자는 것이 다르다 (0) | 2023.02.16 |
---|---|
[동의보감] 虛煩不睡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 (0) | 2023.02.15 |
[동의보감] 陽氣之出入爲寤寐 양기가 드나드는 데 따라 자거나 깨어난다 (0) | 2023.02.15 |
[동의보감] 五臟虛實爲夢 오장의 허와 실에 따라 꿈이 된다 (0) | 2023.02.15 |
[동의보감] 淫邪發夢 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