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ugar in a baby’s brain is called ADHD” 아기 뇌에 설탕이 많으면 ADHD다.🧠 “Sugar in an adult’s brain is called dementia”어른 뇌에 설탕이 많으면 치매다.👁️ “Sugar in your eyes is called glaucoma”눈에 설탕이 많으면 녹내장이다.🦷 “Sugar in your teeth is called cavities”치아에 설탕이 있으면 충치다.😴 “Sugar in your sleep is called insomnia”잠자리에 설탕이 있으면 불면증이다.🩸 “Sugar in your blood is called diabetes”혈액 속 설탕은 당뇨병이다.🧬 “Excess sugar in your bod..

30년 전 고등학교 생물시간이었나... 식물 뿌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배웠다. 첫째는 식물을 지지하는 기능, 둘째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과 양분을 흡수하여 줄기나 잎으로 보내는 기능 등 말이다. 범인(凡人)들에겐 각인되어 있을 정도로 단순하면서 직관적으로 명확한 기능들이다.그러다 얼마전 나무 뿌리에 신박한 새로운 기능이 있다는 기사를 보았다. 뿌리 분비물(Root Exudates)식물 뿌리는 다양한 유기물질을 분비하여 미생물과 신호를 주고받고, 미생물에게 영양분을 제공하며, 뿌리 주변 환경을 조절합니다. 뿌리 분비물은 식물이 토양 미생물과 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매개체입니다. 식물은 뿌리에서 다양한 유기물질을 분비하여 미생물에게 영양분을 제공하고, 미생물은 식물에게 필요한 질소, ..

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과 포화지방이 몸에 해롭다는 이론은 어떤 과정을 거쳐 세상에 뿌려지게 되었는가를 따라간다.책 끝에 있는 '결론' 부분을 옮겨봅니다.이 책의 교훈은 고지방 식단이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단에 비해 모든 면에서 더 건강하다는 것이다. 오늘날 매우 엄격한 과학적 근거들이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탈리아 농부처럼 아침 식사로 올리브유를 사발째 마시고 싶지 않다면, 건강을 위해 지방을 충분히 섭취하는 유일한 방법은 동물성 식품에 풍부한 포화지방을 먹는 것이다. 이는 전지방 유제품, 달걀, 육류(그중에서도 기름진 고기)의 섭취를 의미 한다. 쉽게 말해 우리가 오랫동안 거부해왔던 모든 기름진, 금단의 식 품을 먹으라는 것인데, 이 식품이 건강한 식단의 필수 요소이기 때문 이다.지난 10년..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맹장염'은 정확히 말하자면 '충수염'이다. 소장의 끝과 대장의 시작점인 맹장에 꼬리처럼 달려있는 게 충수. 충수에 염증이 생기는 게 충수염인데, 충수염에 걸리면 별생각 없이 제거해 버린다. 맹장이나 충수는 그렇게 취급받을 만큼 역할과 기능이 없는 것일까?Q : 현대의학의 기계적 인체 모델에 있어서 충수는 아무 기능도 하지 않는것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충수도 기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A : 아주 좋은 질문이에요. 현대의학에서는 오랫동안 맹장(appendix, 정확히는 충수돌기)을 “쓸모없는 기관”, 즉 퇴화된 장기로 여겨왔죠. 실제로 맹장염이 생기면 잘라내도 건강에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그 기능이 사라진 기관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수..

인포그래픽 “Visualizing the Biomass of Life”는 지구 생명체의 전체 생물량(biomass)을 시각적으로 비교한 자료예요. 생물량은 생명체 안에 들어 있는 탄소(C)의 총량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단위는 기가톤(GtC, 기가톤의 탄소)입니다.Biomass of Animals (동물의 생물량)동물만 따로 보면 총 생물량은 2.5GtC 정도이고, 이 안에서도 다양하게 나뉘어요• 절지동물 (해양) : 1.0 GtC주로 새우, 게, 크릴 등 갑각류가 중심, 전체 동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어류 : 0.7 GtC약 3만 종 이상의 어류 포함, 전체 해양 생물량의 상당 부분• 절지동물 (육상): 0.2 GtC곤충류, 거미, 지네 등, 육상 동물 중 큰 비중• 환형동물 (Annelids)..

장 미생물이 평생 건강을 책임지는 주인공이다!당뇨병, 심장병, 암, 우울증, 뇌 질환… 현대 만성질환의 배후에는 장 미생물이 있다장 미생물을 잘 관리해야 건강하게 나이 들 수 있다인간 수명 100세 시대를 맞아 현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오래 산다. 동시에 그 어느 때보다 아프다.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대사 증후군, 자가면역 질환, 암, 간 질환,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같은 만성질환이 놀라운 속도로 늘고 있다. UCLA 의대 교수이자 저명한 소화기내과 전문의인 에머런 메이어 박사는 장 미생물이 우리 몸을 위협하는 질병의 중심에 있다는 획기적인 제안을 내놓는다. 최신 과학과 임상 경험을 결합한 이 책은 21세기 건강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우리 몸을 뇌-장-미생물 네트워크의 장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접근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