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물학

지구 생물총량

우리는미생물 2025. 3. 23. 18:49
반응형

인포그래픽 “Visualizing the Biomass of Life”는 지구 생명체의 전체 생물량(biomass)을 시각적으로 비교한 자료예요. 생물량은 생명체 안에 들어 있는 탄소(C)의 총량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단위는 기가톤(GtC, 기가톤의 탄소)입니다.

Biomass of Animals (동물의 생물량)

동물만 따로 보면 총 생물량은 2.5GtC 정도이고, 이 안에서도 다양하게 나뉘어요

• 절지동물 (해양) : 1.0 GtC

주로 새우, 게, 크릴 등 갑각류가 중심, 전체 동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어류 : 0.7 GtC

약 3만 종 이상의 어류 포함, 전체 해양 생물량의 상당 부분

• 절지동물 (육상): 0.2 GtC

곤충류, 거미, 지네 등, 육상 동물 중 큰 비중

• 환형동물 (Annelids): 0.2 GtC

지렁이와 같은 생물, 토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

• 연체동물 (Mollusks): 0.2 GtC

조개, 오징어, 달팽이 등 포함

• 자포동물 (Cnidarians): 0.1 GtC

해파리, 산호 등

• 가축 (Livestock): 0.1 GtC

주로 소, 돼지, 양, 닭 등

• 선충 (Nematodes): 0.02 GtC

현미경으로 보이는 아주 작은 생물

• 야생 포유류 (Wild Mammals): 0.007 GtC

사자, 곰, 코끼리 등 야생 동물,v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비중

• 야생 조류 (Wild Birds): 0.002 GtC


지구 전체 생명체의 생물량 비교

전체 생물량 (비율 순, GtC 단위)

• 식물: 450 GtC

지구 생물량의 압도적 다수, 대부분 나무가 차지

• 세균(Bacteria): 70 GtC

전 지구에 분포, 토양과 해저에 특히 많음

• 균류(Fungi): 12 GtC

곰팡이, 버섯 포함, 분해자로 중요한 역할

• 고세균(Archaea): 7 GtC

고온, 산성 등 극한 환경에 서식

• 원생생물(Protists): 4 GtC

단세포 생물 포함 (예: 아메바, 조류 등)

• 바이러스: 0.2 GtC

생물인지 여부는 논란 있지만, 생물량에는 포함

• 동물(Animals): 2.5 GtC

•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 인간: 약 0.01%, 지구 전체 생물량에서 인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극히 작음, 대략 0.06 GtC 정도


결론

• 지구 생물량의 대부분은 식물이 차지 (약 80% 이상)

• 세균, 곰팡이, 고세균 등 미생물들도 매우 큰 비중

• 동물은 생각보다 적은 비중, 그중에서도 인간은 매우 미미한 존재

• 동물 내에서는 해양 절지동물과 어류가 주요 구성

• 우리가 눈에 띄게 보는 야생 포유류와 조류는 전체에서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양에 불과

728x90

'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테리아에 관한 진실  (0) 2023.04.30
미생물과의 끊임없는 경쟁  (0) 2023.04.30
자율신경계  (0) 2023.04.14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