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년 전 고등학교 생물시간이었나... 식물 뿌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 배웠다. 첫째는 식물을 지지하는 기능, 둘째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과 양분을 흡수하여 줄기나 잎으로 보내는 기능 등 말이다. 범인(凡人)들에겐 각인되어 있을 정도로 단순하면서 직관적으로 명확한 기능들이다.그러다 얼마전 나무 뿌리에 신박한 새로운 기능이 있다는 기사를 보았다. 뿌리 분비물(Root Exudates)식물 뿌리는 다양한 유기물질을 분비하여 미생물과 신호를 주고받고, 미생물에게 영양분을 제공하며, 뿌리 주변 환경을 조절합니다. 뿌리 분비물은 식물이 토양 미생물과 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매개체입니다. 식물은 뿌리에서 다양한 유기물질을 분비하여 미생물에게 영양분을 제공하고, 미생물은 식물에게 필요한 질소, ..

인포그래픽 “Visualizing the Biomass of Life”는 지구 생명체의 전체 생물량(biomass)을 시각적으로 비교한 자료예요. 생물량은 생명체 안에 들어 있는 탄소(C)의 총량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단위는 기가톤(GtC, 기가톤의 탄소)입니다.Biomass of Animals (동물의 생물량)동물만 따로 보면 총 생물량은 2.5GtC 정도이고, 이 안에서도 다양하게 나뉘어요• 절지동물 (해양) : 1.0 GtC주로 새우, 게, 크릴 등 갑각류가 중심, 전체 동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어류 : 0.7 GtC약 3만 종 이상의 어류 포함, 전체 해양 생물량의 상당 부분• 절지동물 (육상): 0.2 GtC곤충류, 거미, 지네 등, 육상 동물 중 큰 비중• 환형동물 (Annelids)..

박테리아는 화산과 남극 대륙과 방사성 폐기물 등 극한 환경에서도 발견 깨끗한 물 1밀리리터에 든 박테리아의 개체수는 약 100만개 토양 1그램에 든 박테리아의 개체수는 약 4,000만개 지구상에 있는 산소의 절반 이상은 박테리아가 만드는 것으로 추정. 박테리아 없이는 사람은 숨도 쉴 수 없다. 사람의 몸은 약 10조 개의 체세포와 약 90조 개의 박테리아 세포로 구성 몸에 있는 박테리아 총무게는 약 1,800g 과학자들은 사람의 배꼽에서 2,375종의 박테리아를 발견(새로 발견된 것은 1,500종) 사람의 몸에 존재하는 장내 미생물의 생태학적 군집인 마이크로바이옴에는 1,000종 이상의 박테리아가 들어있다. 출처 : The Big Book of Kombucha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75266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의 존재가 밝혀지면서 생명과학은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 왔다. 페니실린이라는 항생제의 발견을 통해 미생물 감염으로부터 수많은 생명을 구했으며, 다양한 항생제의 개발을 통해 인간에게 병원성 미생물 감염이라는 심각한 위협은 거의 잊어져가고 있다. 현재는 미생물 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인간에게 초점을 맞춘 다양한 생명과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후천성면역결핍증(AIDS)나 조류독감과 같은 항생제가 작용하지 않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나 암과 같은 난치병 치료를 위한 연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잊혀져가던 미생물 감염의 위협이 다시 ..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자율신경계를 이루는 두 종류의 신경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길항 작용을 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반대의 작용을 하는 것처럼 보이나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하며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런 자율신경 기능의 문제가 발생한 것을 자율신경실조증(autonomic dysfunction)이라고 표현한다. 교감신경(sympathetic nerve system, SNS) 자율신경계를 이루는 개개의 원심성 말초신경이다. 중추는 척수의 흉요부측각에 있고, 혈관이나 내장에 들어간다. 혈압 상승, 혈관 수축, 동공 확대, 괄약근의 수축 등을 일으킨다.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PSNS) 교감 신경과 더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