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治聲音藥 목소리를 두루 치료하는 약 보통 목소리가 맑지 않으면 가미고본환, 가미상청환, 요량환, 발성산, 가자산, 가자청음탕, 출성음방을 쓴다. 一方 다른 처방 어떤 사람이 마른기침을 하다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썼다. 백출 두 돈, 인삼 · 귤홍 각 한 돈 반, 반하국 한 돈, 백복령 · 상백피 · 천문동 각 일곱 푼, 감초 · 청피 각 서 푼, 오미자 스무 알, 지모 · 지골피 · 과루인 · 길경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달여 먹는데, 여름에는 황금 다섯 푼을 더 넣는다. 이어 사물탕에 동변童便, 죽력, 생강즙, 황백(볶은 것)을 넣어 먹는다. 이 두 가지 약을 밤낮으로 서로 바꾸어가면서 두 달을 먹으면 목소리가 나오고 낫는다(단계).
息有音 숨쉴 때 소리가 나는 것 잠을 자지 못하고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는 것은 양명경의 기가 거슬러 흐르기 때문이다. 족삼양경足三陽經은 아래로 내려가야 하는데, 오히려 거슬러 위로 올라가므로 숨쉴 때 소리가 나는 것이다. 양명경은 위胃의 경맥인데, 양명경의 기가 거슬러 올라가 그 정상적인 통로를 따라 흐르지 못하므로 잠을 자지 못한다. 기거하는 것은 여전하지만 숨쉴 때 소리가 나는 것은 폐의 낙맥絡脈이 거슬러 흐르기 때문이다. 낙맥의 병은 가볍기 때문에 기거하는 것은 여전하지만 숨쉴 때 소리가 나는 것이다(『내경』).
聲嘶 목소리가 쉰 것 오장과 관련된 기침이 오래되면 목소리가 쉰다. 목소리가 쉰 것은 후두가 상한 것으로, 인두의 병은 아니다(『세의득효방』). ○ 힘을 많이 써서 몸이 떨리고 목소리가 쉰 것은 기가 허하고, 위기衛氣가 너무 차가워졌기 때문이다(『의학입문』). ○ 기침을 하여 목소리가 쉰 것은 혈이 허한 데 열을 받았기 때문이다. 청대와 합분을 꿀로 알약을 만들어,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단계심법』). ○ 목소리가 쉰 데는 시호승마탕, 윤폐환, 밀지전을 쓴다.
瘖瘂有二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두 가지가 있다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은 사기가 음분陰分에 침입하였기 때문이다. 『내경』에서는 "사기가 음분에 부딪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고, 또 "사기가 음분에 침입하여 부딪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말을 하지 못하는 데는 두 가지 병증病證이 있다. 첫째는 '설음舌瘖'이라 하는데, 중풍으로 혀가 잘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고, 둘째는 '후음喉瘖'이라 하는데, 허로虛勞로 기침을 많이 하여 목이 쉬거나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이다. 대개 설음은 혀가 움직이지 않아 말을 하지 못하지만 인후에서의 목소리는 여전하며, 후음은 단지 후두에서 목소리가 쉰 것으로, 혀 자체는 움직여 말을 할 수 있다『의학강목』.
厥氣爲瘖 궐기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궐기厥氣가 후두喉頭로 치밀어올라 말을 하지 못하고 손발이 차가워지고 대변이 잘 나가지 못하면 족소음경에 침을 놓는다. [황제가 묻기를] "갑자기 소리가 나지 않으면 침을 어떻게 놓는가?" 기백이 "족소음맥은 위로 혀와 이어져서 횡골橫骨을 얽고[絡] 회염會厭에서 끝난다. 이 혈맥을 두 차례 사혈하면 탁기濁氣가 물러간다. 회염의 맥은 위로 임맥을 얽고 있는데, 천돌에 침을 놓으면 회염에서 목소리가 나온다"고 하였다(『영추』). ○ 어떤 남자가 오랫동안 담수痰嗽를 앓았는데 갑자기 풍한風寒에 감촉되고 술과 고기를 먹어 궐기가 후두로 치밀어올라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좌우의 풍륭혈에 세 장씩 뜸을 뜨고 좌우의 조해혈에 한 장씩 뜸을 뜨니 목소리가 곧 나왔다. 이어서..
因雜病失音 잡병으로 목이 쉬거나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 중풍을 앓는 사람이 음식을 먹는 것이나 행동하는 것은 평상시와 같으나, 단지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민간에서는 아풍瘂風이라고 부른다. 소속명탕에서 부자를 빼고 석창포를 한 돈 더하여 쓰거나, 가자청음탕을 써도 된다(『고금의감』). ○ 해수咳嗽로 목이 쉬거나 목소리가 나오지 않으면 인삼청폐산, 행인전, 합개환을 쓴다. ○ 담이 막혀 목이 쉬거나 목소리가 나오지 않으면 옥분환, 궁신산을 쓴다. ○ 허손虛損으로 파리하고 기혈氣血이 부족하여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오랫동안 말을 하지 못할 때 천진원을 쓰는데, 복용한 지 보름이 지나면 저절로 말이 나온다(『세의득효방』). ○ 노래를 너무 불러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으면 향성파적환을 쓴다(..
卒然無音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 황제가 "사람이 갑자기 근심하거나 성낸 뒤에 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은 어느 길이 막히고 어느 기가 나와 돌아다녀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인지 그 이치를 듣고 싶다"고 물었다. 소사少師가 "인후咽喉는 음식물의 통로이고 후롱은 기가 오르내리는 길이고 회염은 목소리의 문이고 입술은 목소리가 들고나는 창이고 혀는 목소리를 내는 기틀이고 목젖은 성음의 관문이고 항상頏顙은 기가 나뉘어 나오는 곳이고 횡골橫骨은 신기神氣의 부림을 받아 혀의 움직임을 주관하는 곳이다. 콧물이 흘러 멎지 않는 것은 항상이 열리지 않아 기가 나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회염이 작고 얇으면 숨을 내쉬는 것이 빠르고 열고 닫는 것이 매끄러워 말하기가 쉽다. 회염이 크고 두터우면 열고 닫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