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聽聲音辨病證 목소리를 듣고 병증을 분별함 『내경』에서는 "숨쉬는 것을 보거나 목소리를 듣고 아픈 곳을 안다"고 하였고, 또 "중초의 기[中]가 성하고 장부臟腑의 기운이 [막혀] 가득 차서 [濕土의] 기운이 왕성하면 두려움에 [腎이] 상하게 되는데, 그러면 방 안에서 말하는 목소리 같이 되니 이것은 중기中氣가 습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 『금궤요략』에서는 "환자의 목소리가 조용조용하면서 잘 놀라서 외치는 것은 뼈마디에 병이 있는 것이고, 말을 어물어물하면서 얼버무리는 것은 심격간心膈間에 병이 있는 것이고, 목소리가 가늘면서 길게 나오는 것은 머리 속에 병이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또 "목소리를 듣고 병을 알면 훌륭한 의사이다"라고 하였다. ○ 『난경』에서는 "듣고서 안다는 것은 오음五音을 듣고 질..

聲音出於腎 목소리는 신腎에서 나온다 심心은 목소리의 주인이고, 폐肺는 목소리가 나오는 문이며, 신腎은 목소리의 뿌리이다. 풍風, 한寒, 서暑, 습濕, 기氣, 혈血, 담痰, 열熱 등의 사기가 심폐心肺를 침범하면 상완上脘에 병이 생기는데, 증상에 따라 치료하여 사기가 흩어지면 목소리가 나온다. 신이 허하여 병이 되면 여러 기운을 받아들여 본원[腎]으로 돌려보내지 못하므로 기가 거슬러오르게 되어 기침이 나고 담이 막히고 뭉치며 혹은 숨이 차거나 가슴이 가득 차고 가슴과 배, 온몸의 뼈가 당긴다. 기침이 심해질수록 기는 더욱 부족해지고 목소리도 더욱 메마르게 된다(『인재직지』). ○ 어떤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를 하였는데, 전을錢乙이 과루탕을 써서 나았다. 그 어린아이가 또 대소변을 보지 못하여 다른 의사가 약을..

用藥法 약 쓰는 법 몸이 허하여 꿈이 많으며 어지러운 데는 인삼 · 용골을 더하여 쓴다(『본초』). ○ 담膽이 허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한寒 때문인데, 산조인을 볶아 가루내어 죽엽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담이 실하여 잠을 많이 자는 것은 열熱 때문인데, 산조인 날것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볶아서 좋은 차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해장). ○ 어떤 사람이 두려움 때문에 병을 얻어 누가 잡으러오는 것 같아서 편안히 잠을 자지 못하고 입맛이 없었다. 인삼 · 백출 · 당귀신을 군약으로, 진피를 좌약으로 하고, 소금물에 불려 볶은 황백과 구운 현삼을 각각 약간씩 넣어 사약使藥으로 하여서 달여 먹기를 한 달 남짓하였더니 나았다. 이것은 두려움으로 인하여 신腎을 상한 것이므로 소금물에 축여 볶은 황백과 구운..

辟惡夢 나쁜 꿈을 피한다 밤에 나쁜 꿈을 꾼 것을 남에게 말하면 안 된다.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칼을 들고 입에 물을 머금었다가 칼에 내뿜으면서 "악몽착초목, 호몽성주옥[나쁜 꿈은 초목에 붙고, 좋은 꿈은 주옥珠玉이 되어라]"이라고 주문을 외우면 재앙이 없다. 꿈이 좋거나 나쁘거나 모두 남에게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세의득효방』). ○ 사향을 오랫동안 먹으면 꿈을 꾸거나 가위눌리지 않는다. 또한 좋은 사향 한 제를 베개 속에 넣어두고 베면 사기를 없애고 나쁜 꿈을 피할 수 있다(『본초』). ○ 소합향蘇合香은 꿈이나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는데, 먹거나 몸에 지닌다(『본초』). ○ 호랑이 머리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나쁜 꿈을 피하고,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다(『본초』). ○ 서각犀角은 가위눌리..

寢睡法 잠자는 법 잠을 잘 때는 옆으로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고 자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심기心氣를 도와준다. 깨어 있을 때는 몸을 펴고 있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정신이 산만하지 않다. 대개 몸을 반듯하게 뻗고 잠을 자면 헛것[나쁜 기운]을 불러들이게 된다. 공자가 죽은 사람처럼 똑바로 누워서 자지 않았다는 것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활인심』). ○ 낮잠을 자면 안된다. 낮잠을 자면 기운이 빠진다. 또한 밤에 잘 때는 항상 입을 다물고 자야 하는데, 입을 벌리고 자면 기운이 빠지고 사기가 입으로 들어와 병이 생긴다. 무릎을 구부리고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것은 기력을 도와주는데, 바로 눕는 것보다 낫다. 공자는 죽은 사람처럼 똑바로 누워서 자지 않았는데, 그러므로 '잘 때는 움츠리기를 좋아하고 ..

身重嗜臥 몸이 무거우면 잠자기를 좋아한다 황제가 "잠이 많은 것은 어떤 기가 그렇게 하는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이러한 사람은 장위腸胃가 크고 피부가 습하고 분육分肉이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장위가 크면 위기衛氣가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고, 피부가 습하면 분육이 풀리지 않아 위기가 더디게 돈다. 위기라는 것은 낮에는 양분陽分을 돌고 밤에는 음분陰分을 돈다. 양분을 다 돌면 잠을 자게 되고, 음분을 다 돌면 깨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장위가 크면 위기가 도는 데 오래 걸리고, 피부가 습하고 분육이 풀리지 않으면 그 도는 것이 더디게 된다. 음분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면 그 기가 맑지 못하여 눈이 감기기 때문에 자게 된다"라고 하였다(『영추』). ○ 간이 허하거나 신이 허하거나 비가 허하면 몸이 무겁고 답..

臥不安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하는 것 사람이 누워 자면 혈血은 간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혈이 안정되지 못하면 누워 자려 하여도 혈이 간으로 돌아가지 못하므로 가슴이 두근거려서 잠을 자지 못하게 된다(『의학강목』). ○ 황제가 "잠을 자기는 하지만 편안치 않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대답하기를 "오장이 상하고 정기가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환자 자신은 병이 있는 줄 알지 못하지만 그런 병이 들면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한다"고 하였다(『내경』). 십사우원으로 치료하는데, 심과 간이 허하여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하는 것도 치료한다. ○ 황제가 "사람이 바로 누워 자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폐肺는 다른 장기를 덮고 있는데, 폐기가 왕성하면 폐가 커지고 폐가 커지면 바로..

睡辨陰陽虛實 잠자는 것으로 음양의 허실을 나눈다 상한傷寒이나 잡병雜病으로 잠을 많이 자는 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하기 때문이고,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하기 때문이다. 밝은 곳을 좋아하는 것은 양증陽證에 속하며 원기元氣가 실한 것이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것은 음증陰證에 속하며 원기가 허한 것이다. 벽을 향하여 자는 것은 음증에 속하며 원기가 허한 것이고, 밖을 향하여 자는 것은 양증에 속하며 원기가 실한 것이다(『만병회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