支飮 지음 기침이 치밀어올라 기대어 숨을 쉬거나 숨이 차서 눕지를 못하고 몸이 마치 부은 것 같은 것을 지음이라고 하는데, 소청룡탕이 주치한다. 또 맥이 삭數하면 반드시 몸시 어지러운데, 이것은 본래 환자의 가슴속에 지음이 있기 때문이다. 복령오미자탕이 주치한다(중경). ○ 지음은 또한 기침이 나서 누울 수가 없으며, 이에 더하여 숨이 찬데 맥은 고르게 나타난다(중경). ○ 지음은 물이 횡격막 위에 머물러 있어서 기침이 치밀어올라 기대어 숨을 쉬거나 숨이 찬 것을 말한다.【의학입문】
https://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33256.html 한국 사람에게 ‘삼시세끼’는 신화에 가깝다. 한국 사람은 하루를 밥심으로 시작해서, 밥심으로 버티고, 밥심으로 논다. 그런데 삼시세끼는 근래에 만들어진 신화다. 조선시대에 끼니는 보통 아침과 저녁 두 끼만을 의미했다. 어찌어찌하다 점심을 걸렀다. 아침은 원래 안 먹는다. 25년 가까이 그런 거 같다. 마침 1일1식 기사를 쓰는 차에 저녁 한 끼만 먹어보기로 했다. 크게 힘들지는 않았다.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많아 힘 쓸 일도 별로 없다. 입만 떠들거나 키보드 위에서 손가락만 까닥까닥한다. 중간중간 달달한 초콜릿을 먹기는 했다. 그런데도 한 끼 먹는 저녁 식사를 과식했다. 늦은 밤 퇴근하다가 술..
https://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33260.html 배고픔의 힘, ‘공복력’을 강조하는 주장은 체온 건강법이나 해독 프로그램처럼 입증되기 어려운 수다한 건강 이론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 끼니 열풍이 곧 식는다 하더라도 ‘사람은 하루 세 끼를 먹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진작부터 금이 가고 있었다. 먹고사는 일이 무거운 당신에게 굶기를 권한다. 지난 9월7일 출간된 이 11월1일까지 6만 부 넘게 팔렸다. 하루 한 끼를 먹으라는 이 책에 이어 10월25일에는 이라는 책이 나왔다. 두 책은 모두 일본의 의학박사들이 쓴 책이며, 장수 비결은 굶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건강을 위해 하루 한 끼를 다짐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카페 ‘1일1식’ 회원이..
留飮 유음 가슴속에 유음留飮이 있으면 환자는 숨이 차고 갈증이 나며 팔다리 마디마디가 아프며 맥은 침세沈細하다(중경). ○ 유음은 물[水]이 오목가슴[心下]에 정체되어 등에 손바닥 크기만큼 찬 부분이 있으며, 또 숨이 차고 갈증이 나며 팔다리 마디마디가 아프고 옆구리의 통증이 결분缺盆까지 이어지고 기침이 점차 심해진다.【의학입문】 ○ 유음의 증상은 팔다리 마디마디가 아프고 숨이 차고 맥이 침沈하며 오래되면 환자의 뼈마디가 삐뚤어지고 전간癲癎이 될 우려가 있다. 도담탕에 가감한 것이나 궁하탕을 두루 쓴다.【의학입문】
王隱君痰論 담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 담증痰證에 대한 것은 예나 지금이나 모두 자세하지 못하다. 의서에는 비록 현음, 유음, 지음, 담음 등 여러 가지 음飮이 있지만, 그 병의 원인을 알지 못한다. [담으로 병이 되면] 두풍증이 있고 어지럼증[眩暈]이 생기고 눈앞이 아찔하고 이명耳鳴이 있거나, 입과 눈이 떨리고[蠕動] 눈썹 사이와 귓바퀴가 가렵기도 하다. 혹은 팔다리에 유풍증游風證이 생겨 뜬뜬하게 부어서 아픈 것 같기도 하고, 아프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혹은 이와 뺨이 가렵고 아프며 잇몸이 붓기도 하는데, 아픈 것이나 가려운 것이 한결같지 않다. 또 트림이 나거나 신물이 올라오며 명치 밑이 쓰리고 구역과 딸국질이 나기도 한다. 또 목구멍이 시원하지 않아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데, 가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