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greenreview.co.kr/greenreview_article/1831/ 편집자의 말 ‘콤부차’는 지난 수십년 동안 한국사회에서도 간헐적으로 알려져온 ‘홍차버섯차’의 다른 이름인데, 이 발효 음료는 현재 유럽 여러 지역과 미국 및 호주에서 그 다양한 건강효과 때문에 새로이 주목을 끌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참고문헌도 증가하고 있다. 유럽 등에서는 ‘콤부차’가 원래 극동 지역에서 시작되어 중앙아시아나 우랄지방을 통해서 전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동아시아 지역이 이 음료의 기원이라는 명백한 증거가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 음료는 주로 홍차를 원료로 한 것이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홍차버섯차’ 또는 단순히 ‘홍차버섯’이라고 불리어왔지만, 지금 세..

화학요법은 암 치료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지구는 편평하다. 틴투버Tijn Touber가 작성한 이 대담기록의 출전은 네델란드에서 발행되고 있는 잡지 Ode, 2003년 10월호이다. 본문에 나오는 ‘암에 맞서는 사람들’의 주소와 연락처는 다음과 같다. Menschen gegen Krebs, P.O Box 1205, 71386 Kernen, Germany. Tel: +49(0) 7151 910217, mgk@kerbstherapien.de, www.krebstherapien.de (로타르 히르나이제의 책 의 한국어 번역본은 녹색평론사에서 발간될 예정이다.) 암은 아마도 우리 현대사회가 제일 두려워하는 질환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암이란 곧 사형선고와 같다. 유효한 치료법이 희귀하기 때문이다. 로타..

⟪통증혁명⟫ Healing Back Pain, 존 사노 지음 저자 : 존 E. 사르노 (John E. Sarno) 등통(Back Pain)전문의. 현재 뉴욕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재활의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뉴욕대학교 부속병원 안에 있는 하워드 A.러스크 재활의학연구소에서 객원 의사로도 일하고 있는 그는 수십년 동안 갖가기 통증에 시달리는 환자들을 치료해왔다. 첨단의학도 제대로 손을 쓰지 못하는 통증에 대한 오랜 연구로 사르노 박사는 '마음(정신)'이 우리 몸을 병들게 하는 원인임을 알아냈다. 통증에 대한 전통적이며 일반적인 진단 및 치료법으로는 통증은 신체 구조적인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약이나 다양한 물리치료, 각종 교정술, 견인, 침, 바이오피드맥, 신경자극치료 와 수술 등 다양한 방법이 ..

지난번 올렸던 '면역혁명'의 저자인 아보 도오루 선생의 '체온면역력'이라는 책을 소개합니다. 핵심 내용은 '면역혁명'과 대동소이합니다. 자율신경과 과립구, 림프구에 대한 설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자율신경과 체온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설명을 합니다. 그러니까 체온을 높임으로써 부교감신경을 우위에 놓게 만들고 혈액순환을 개선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어떻게 체온을 높일 것인가? 몇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목욕과 운동, 바른 자세, 호흡법이 그것입니다. 건강에 관한 정보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그다지 새로운 내용이 아니라 할 수 있겠습니다. '면역혁명'과 중복되는 내용이 많아 둘 중 하나의 책만 읽어도 핵심 내용은 숙지할 수 있겠네요. 평열이 높을수록 원기가 있다 몸속은 37.2°C..

아보 도오루著 아보 도오루 선생은 병의 원인을 스트레스로 인한 과립구의 증가로 해석했습니다. 먼저, 아보 선생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백혈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통칭해서 사용하는 '백혈구'는 크게 과립구(60%)와 림프구(35%)로 나뉩니다. 과립구는 자율신경중 교감신경이 우위에 있을 때 작용이 활발해지며, 침투한 세균들과 전투를 벌여 화농성火膿性 염증을 일으킵니다. 그러므로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염증의 60%는 과립구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림프구는 자율신경중 부교감신경이 우위에 있을 때 활발해지며 T세포, B세포, NK세포 등으로 구성되고, 과립구가 잡아 먹지 못하는 작은 항원을 상대로 하여 싸웁니다. 또한 암세포와 같은 변이된 세포를 처리하기도 합니다..

김윤세著 이 책은 인산 김일훈 선생이 창안하신 '영구법'이라는 뜸법의 효과와 실행 방법, 실제 병증에 적용하는 방법과 치료 사례 그리고 체험자들의 수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근래 구당 김남수 선생께서 TV에 출연한 이후 뜸에 관한 관심이 전 국민적으로 높아졌는데, 김일훈 선생의 영구법과 비교하자면 김남수 선생의 뜸법은 쌀알 반만한 뜸을 다양한 혈자리에 뜨는 반면, 영구법은 5분 이상 타는 대형 뜸을 주로 중완과 단전, 족삼리에 뜨는 것이 차이점이라 할 것입니다. 공통점이라고 하면 뜸불이 직접 살갗에 닿도록 하는 직접구라는 것. 영구법은 뜸불을 살갖에 직접 태우는 직접구법이다. 타는 시간이 5~30분에 이르는 대형 뜸장을 쓴다. 그 사람의 나이와 병증, 체력 등을 고려하여 적게는 몇 십장에서 많게는 수천여..

'나는 침과 뜸으로 승부한다' 김남수著 이 책의 저자인 김남수 선생은 1915년 생으로 이 땅에서 오랜동안 침과 뜸으로 구명활동을 펼쳐왔으나 최근 여러 기득권 세력의 방해로 인해, 운영해 오시던 남수침술원을 그만 두시고 미국 소재의 병원에서 진료를 보고 계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면허의 유무도 중요한 것이겠지마는, 이 분의 전통의료분야의 오랜 노하우를 이런 식으로 사장시키기 보다는 끌어 안아서 제도권 의료를 풍부히 하는데, 그래서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문제를 풀어나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 책은 구당 김남수 선생이 그 동안 침과 뜸으로 환자를 구제하는 여러 실례들로 엮어져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를 해보겠습니다만 환자마다의 특성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달라질 수 있으니 단순히 참고만 하시길..

청홍刊 '일침' 책을 구입하면 부록으로 들어있는 침에 대한 동영상입니다. 30분 정도 영상이니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1. 침의 종류와 용도 2. 자침 방법 침관 다루는 법, 직자법, 횡자법, 사자법 3. 자침 수법 제삽법, 염전법(보법, 사법) 득기란?, 침훈이란? 4. 상용 혈위의 취혈법과 주치 병증 곡지 - 딱국질, 테니스엘보, 습진, 대상포진 족삼리 - 가장 많이 쓰이는 혈자리, 설사, 식욕부진, 다리 힘이 빠졌을때, 체했을 때 중완 - 뜸이 효과적, 멀미, 배가 차서 설사, 술 먹고 설사 용천 - 구토, 고혈압, 삼릉침을 이용해 사혈(두통, 어지럼증), 중풍 백회 - 탈항, 소아 경기, 유뇨증 합곡 - 뒷목 뻣뻣, 만성 비염, 급성 요통 곤륜 - 급성 요통, 갑자기 정신을 잃었을 때 태충 - ..

발포부항하는 여자 (행림서원刊, 오흥순著) - 발포요법의 위력과 기적 기존의 부항법은 피부의 색소반응을 유도하는 건식 부항법과 사혈침을 수번 찌른 후 부항을 붙여 어혈을 빼내는 습식 부항법, 두 가지가 있었으나 여기에 더하여 새로운 부항법을 개발한 분이 계셨으니 바로 김형렬 선생이다. 기존 문헌에 부항을 이용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체계적으로 연구를 하여 이 부항법에 이름을 붙인 사람은 김형렬씨가 최초라 할 수 있다. '발포부항하는 여자'는 생전 김형렬 선생의 저작물 여섯권에 내용을 추가하여 그의 부인(오흥순)되시는 분이 정식으로 출판한 책이다. 발포부항의 원리는 물집이 잡히게 부항을 붙혀 그 경혈에 머물러 있던 어혈에서 독수(요산 성분)를 분리, 발포가 되면 어혈은 청혈이 되고,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