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血爲氣配 혈은 기의 배필이 된다 혈은 이를테면 물과 같고, 기는 바람과 같다. 바람이 물 위로 스쳐 부는 것은 혈과 기의 관계와 같다. 기는 혈을 이끄는 것으로, 기가 돌면 혈도 따라 돌고 기가 멈추면 혈도 멈춘다. 기가 따뜻하면 혈은 매끄럽게 돌고 기가 차가우면 혈은 잘 돌지 못한다. 기가 잠시라도 돌지 않으면 혈도 그 순간 돌지 못한다. 병이 혈에서 나온 것일지라도 그 기를 조절하여 [혈이] 잘 이르게 할 수 있으니 기로 인하여 생긴 병은 구태여 혈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사람의 몸은 기를 고르는 것이 먼저이고 혈을 고르는 것은 그 다음인데, 이는 또한 양을 우선으로 하고, 음을 그 다음으로 한다는 의미이다(『인재직지』).

血爲榮 혈은 영이다 『내경』에서는 "혈血은 영榮으로 몸 안을 영화롭게 한다. 눈은 혈을 받아야 볼 수 있고, 발은 혈을 받아야 걸을 수 있고, 손바닥은 혈을 받아야 쥘 수 있고, 손가락은 혈을 받아야 집을 수 있다"고 하였다. ○ 유순은 "영은 음식의 정미로운 것인데 비脾에서 생겨 모두 심心의 통제를 받으며 간에 저장되고 폐에서 퍼지며, 신腎에서 쏟아져나와 전신을 적시어 흐른다. 눈은 영을 받아야 볼 수 있고 귀는 영을 받아야 들을 수 있고 손가락은 영을 받아야 집을 수 있으며, 손은 영을 받아야 쥘 수 있고 발은 영을 받아야 걸을 수 있다. 오장은 영을 받아야 진액을 만들 수 있고 육부는 영을 받아야 펼 수 있으며[傳], [영기는] 맥으로 흘러 들어간다. 흘러 들어가는 것이 적으면 [맥이] 삽澁하고 충..

陰血生於水穀 음인 혈은 물과 곡식에서 생긴다 『영추』에서는 "중초에서 [수곡]의 기를 받아 변화하여 붉게 바뀐 것이 혈血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영榮은 중초에서 나온다"고 하였으며, "음식물이 위에 들어가야 맥이 트여 [혈이 흐르게 되고] 물이 경맥에 들어가야 [혈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 『내경』에서는 "영榮은 물과 곡식의 정미로운 기운인데, 오장을 조화롭게 하고 육부에 퍼져 맥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영이] 맥을 따라 아래위로 돌고 오장을 관통하여 육부를 얽는다[絡]"고 하였다.

神 鍼灸法 침구법 전간이 낮에 발작하면 양교(신맥)에, 밤에 발작하면 음교(조해)에 각각 열네 장의 뜸을 뜬다(『역로』). ○ 또 백회, 풍지에 뜸을 뜬다(『침구자생경』). ○ 간병癎病에는 구미, 후계, 용천, 심수, 양교, 삼리, 태충, 간사, 상완에 침을 놓는다. 간병에는 반드시 먼저 설사[下]를 시키고 나서 뜸을 떠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가 통하지 않아 사람을 죽게 할 수 있다. 침을 놓을 때는 상관없다(『의학강목』). ○ 전광에는 풍륭, 기문, 온류, 통곡, 축빈, 양곡, 후계, 음곡에 놓는다(『침구갑을경』). ○ 또 간사에는 서른 장의 뜸을 뜬다(『세의득효방』). ○ 또 천추에 백 장을 뜬다(『세의득효방』). ○ 건망에는 열결, 심수, 신문, 중완, 삼리, 소해에 침을 놓고, 또 백회에 뜸을..

五志相勝爲治 다섯 지가 서로 이겨서 치료가 된다 『내경』에서는 "간의 지志는 화를 내는 것이다. 지나치게 화를 내면 간을 상하는데, 슬퍼하는 것[金]이 화내는 것[木]을 이긴다. 심의 지는 기뻐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기뻐하면 심을 상하는데, 두려워하는 것[水]이 기뻐하는 것[火]을 이긴다. 비脾의 지는 골똘히 생각하는 것이다. 골똘히 생각하면 비를 상하는데, 화내는 것[木]이 생각하는 것[土]을 이긴다. 폐의 지는 걱정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걱정하면 폐를 상하는데, 기뻐하는 것[火]이 걱정하는 것[金]을 이긴다. 신의 지는 두려워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두려워하면 신을 상하는데, 생각하는 것[土]이 두려워하는 것[水]을 이긴다"고 하였다. ○ 주진형은 "다섯 가지 지志의 화火가 뭉쳐 담을 만들어 전광癲狂이..

줄거리 돈이 있어야 환자가 될 수 있는 대한민국 병원의 또 다른 이름 현직 의사인 감독은 의료 현장에서 단돈 몇 만원 때문에 치료를 포기하는 환자들을 만나며 대한민국 의료 시스템의 비정한 현실을 카메라에 담기로 결심한다. 환자를 실적으로 여겨 의사 간의 경쟁을 부추기고 불필요한 과잉치료를 권하는 병원 시스템의 실체와 의료민영화를 위한 물밑작업에 여념이 없는 정부 관료들의 꼼수까지…온갖 위험이 난무하는 정글이 되어버린 대한민국 의료계의 불편한 진실이 낱낱이 공개된다! 한국판 식코로 불리는 다큐입니다. 병원에서 환자는 더이상 존엄성을 가진 인간이 아닙니다. 병원 매출과 의사 실적을 올려주는 '돈'으로 치환 가능한 대상에 불과한 것이죠. 물론 모든 의사와 병원이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점점 이 사회가 물질만능으..

脫營失精證 탈영과 실정 『내경』에서는 "높은 자리에 있던 사람이 천해져 생긴 병을 탈영이라 하고, 부자였던 사람이 가난해져 생긴 병을 실정이라 한다. 사기에 맞지 않아도 병이 안에서 생기어 몸이 날로 마르고 기가 허해지고 정이 없어진다. 병이 깊어지면 기가 없어져 으슬으슬하고 자주 놀란다. 병이 심하면 밖으로는 위기衛氣가 줄어들고 안으로는 영기榮氣가 마른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석에서는 "혈血은 걱정하면 끓고, 기는 슬퍼하면 줄어든다. 그래서 밖으로 위기가 줄어들고 안으로 영기가 마른다"고 하였다.

心澹澹大動 심장이 늘 크게 두근거리는 것 『의학강목』에서는 "심장이 크게 두근거리는 것[心澹澹動]은 담痰이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두려워하거나 놀라지 않아도 심장이 스스로 뛰는 것을 말한다. 놀라거나 두려워하여도 심장이 두근거리는데[心中澹澹], 이는 두려워하거나 놀라서 심장이 뛰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 ○ 『영추』에서는 "수궐음맥이 뛰면[是動] 심장이 크게 두근거린다"고 하였고, 또 "담병膽病이 들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누가 잡으러올 것처럼 두려워한다"고 하였다. ... ○ 심종心忪은 심장이 두근거리는 것[忪]이 아니다. 『내경』에서는 "위胃의 대락大絡을 허리虛里라 하는데, 횡격막을 뚫고 폐에 연결되어 왼쪽 젖 밑으로 나와 그 뛰는 것이 옷 위로 드러난다. 원래 그 맥은 종기宗氣이다"라고 하였으므로, 허하..

김윤세著 이 책은 인산 김일훈 선생이 창안하신 '영구법'이라는 뜸법의 효과와 실행 방법, 실제 병증에 적용하는 방법과 치료 사례 그리고 체험자들의 수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근래 구당 김남수 선생께서 TV에 출연한 이후 뜸에 관한 관심이 전 국민적으로 높아졌는데, 김일훈 선생의 영구법과 비교하자면 김남수 선생의 뜸법은 쌀알 반만한 뜸을 다양한 혈자리에 뜨는 반면, 영구법은 5분 이상 타는 대형 뜸을 주로 중완과 단전, 족삼리에 뜨는 것이 차이점이라 할 것입니다. 공통점이라고 하면 뜸불이 직접 살갗에 닿도록 하는 직접구라는 것. 영구법은 뜸불을 살갖에 직접 태우는 직접구법이다. 타는 시간이 5~30분에 이르는 대형 뜸장을 쓴다. 그 사람의 나이와 병증, 체력 등을 고려하여 적게는 몇 십장에서 많게는 수천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