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神爲一身主 신은 온몸의 주인이 된다 『내경』에서는 "심心은 군주의 역할을 하는 관직이며, 신명神明이 나온다"고 하였다. 무명자는 "천天은 일一이며 수水를 만드는데, 사람에게 있어서는 정精이 된다. 지地는 이二이며 화火를 만드는데, 사람에게 있어서는 신神이 된다"고 하였다. ○ 『만병회춘』에서는 "심心은 온몸의 주인으로 맑고 깨끗한 곳이며, 밖으로는 포락包絡으로 얼기설기 싸여 있다. 그 가운데 정화精華가 모여 맺힌 것을 신神이라 하는데, 신은 음양과 통하고 세밀한 것을 살피며 문란한 것이 없다"고 하였다. ○ 소강절은 "신神은 심心에서 다스리고, 기는 신에서 다스리며, 형形은 머리[首]에서 다스린다. 형과 기가 교합交合하고 신은 그 가운데를 다스리는데[교합하는데], 이것이 천지인 삼재三才의 도道이다"라고 ..

鍼灸法 침구법 모든 기氣의 질병에는 기해에 침을 놓고, 기역氣逆에는 척택, 상구, 태백, 삼음교에 놓으며, 애기噫氣와 상역上逆에는 태연, 신문에 놓으며, 단기短氣에는 대릉, 척택에 놓으며, 소기少氣에는 간사, 신문, 대릉, 소충, 족삼리, 하렴, 행간, 연곡, 지음, 간수, 기해에 놓는다(『신응경』). ○ 상기上氣에는 태충에 뜸을 뜨고, 기가 뭉치고 소화가 안 되면 태창, 냉기冷氣로 배꼽 밑이 아프면 관원에 뜸을 백장百壯 뜨며, 단기短氣는 대추에 나이 숫자만큼 뜸을 뜨고, 폐수에 백장, 신궐에 열네 장 뜨며, 또한 제5척추 밑에 나이 수만큼 뜸을 뜬다(『세의득효방』). ○ 기가 심에서 어지러우면 신문, 대릉에 놓고, 기가 폐에서 어지러우면 어제, 태계에 놓고, 기가 장위腸胃에서 어지러우면 태백, 함곡, ..

六字氣訣 육자기결 '휴'[噓]는 간의 기, '호ㅓ'[呵]는 심의 기, '후'[呼]는 비의 기, '희'[呬]는 폐의 기, '취'[吹]는 신의 기, '히'[嘻]는 삼초의 기를 담고 있다. 그 방법은 입으로는 소리를 내며 숨을 내쉬고, 코로는 숨을 들이마시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병을 없애고 오래 살 수 있다. ○ 간의 기를 돕기 위하여 '휴'할 때는 눈을 똑바로 뜨고, 폐의 기를 돕기 위하여 '희' 할 때는 두 손을 올리고, 심의 기를 돕기 위하여 '호ㅓ' 할 때는 두 손을 깍지 끼어 이마 위에 대고, 신의 기를 돕기 위하여 '취' 할 때는 두 발을 끌어안는데 무릎이 가지런하게 하고, 비의 병 때문에 '후' 할 때는 꼭 입을 오므려야 하고, 삼초에 열이 끼어들었을 대는 누워서 '히히' 하여야 한다. ○ 봄에..

禁忌 금기 『내경』에서는 "오래 누워 있으면 기를 상한다"고 하였다. ○ 『서산기』에서는 "불결한 기를 가까이 하면 진기眞氣를 더럽히게 되며, 사기死氣를 가까이 하면 생기生氣를 어지럽히게 된다"고 하였다. ○ 빈속일 때는 시체를 보지 말아야 하는데, 시체 냄새가 코로 들어가면 혀에 백태白苔가 생기고 입에서는 늘 냄새가 나게 된다. 시체를 보고자 하면 모름지기 술을 마시고 보아야만 독을 피할 수 있다"고 하였다(『세의득효방』). ○ 전염성의 열병 환자가 있는 집에 들어갈 때는 그 독기가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독기'는 땀을 많이 나게 하는 불결하고 독한 기이다(『의방유취』).

氣不足生病 기가 부족하면 병이 생긴다 『영추』에서는 "사기가 있는 것은 모두 [정기의] 부족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上部의 기가 부족하면 뇌가 가득 차지 못하게 되고 귀가 몹시 울리며 머리는 [힘이 없어] 기울어지고 눈이 어둠침침하다. 중부中部의 기가 부족하면 대소변에 병적 변화가 생기고, 장腸에서는 심하게 소리가 난다. 하부下部의 기가 부족하면 위궐痿厥이 생기며 정신이 흐릿해진다"고 하였다. ○ 또 "상부의 기가 부족하면 [기를] 밀어올리고 하부의 기가 부족하면 [기를] 쌓아서 내려가게 한다. 음양이 모두 허하면 불[灸法]로 치료한다"고 하였다. ※ '위궐痿厥'은 수족이 야위고 힘이 없으며 싸늘해지는 증상을 말한다.

발포부항하는 여자 (행림서원刊, 오흥순著) - 발포요법의 위력과 기적 기존의 부항법은 피부의 색소반응을 유도하는 건식 부항법과 사혈침을 수번 찌른 후 부항을 붙여 어혈을 빼내는 습식 부항법, 두 가지가 있었으나 여기에 더하여 새로운 부항법을 개발한 분이 계셨으니 바로 김형렬 선생이다. 기존 문헌에 부항을 이용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체계적으로 연구를 하여 이 부항법에 이름을 붙인 사람은 김형렬씨가 최초라 할 수 있다. '발포부항하는 여자'는 생전 김형렬 선생의 저작물 여섯권에 내용을 추가하여 그의 부인(오흥순)되시는 분이 정식으로 출판한 책이다. 발포부항의 원리는 물집이 잡히게 부항을 붙혀 그 경혈에 머물러 있던 어혈에서 독수(요산 성분)를 분리, 발포가 되면 어혈은 청혈이 되고, 그 ..

七氣 칠기 칠기는 즐겁고 노하고 슬프고 골똘히 생각하고 근심하고 놀라고 두려워하는 것[喜怒悲思憂驚恐]이다. 혹은 차고 뜨겁고 원망하고 화내고 즐겁고 걱정하고 근심하는 것[寒熱恚怒喜憂愁]이라고도 하니 모두 같은 뜻이다(『인재직지』). ○ 『인재직지』에서는 "사람에게는 칠정七情이 있어서 이에 따라 병도 칠기七氣가 생긴다. 기가 뭉치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기가 더욱 뭉친다. 따라서 조기調氣를 하되 반드시 먼저 담을 삭혀주어야 한다. 칠기탕같이 반하를 주약主藥으로 하면서 관계官桂로 좌佐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라고 하였다. ○ 또 "칠기가 서로 간여하면 담연痰涎이 솜이나 엷은 막처럼 뭉치고 심하면 매실의 씨[梅核] 같은 것이 목구멍 사이에 막혀서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는다. 배가 그득하여..

氣逸則滯 기는 너무 편안하여도 막힌다 구선은 "노권勞倦한 증상은 이유 없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무겁거나 가벼운 일을 하거나 하루 종일 날래게 일을 하여서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한가한 사람에게 이 병이 많이 생기는데, 한가하게 즐기는 사람은 거의 기력을 쓰지 않고 포식하고 나서 앉거나 누워 있으므로 경락이 통하지 않고 혈맥이 응체되어 그러한 것이다. 그러므로 귀한 사람은 몸은 즐거우나 마음이 괴롭고, 천한 사람은 마음은 한가하나 몸이 고달프다. 귀한 사람은 즐기고자 하는 욕심이 때도 없이 생기고 혹은 범하지 말하야 하는 것을 탐하고 진수성찬을 먹고 마신 후 곧 잠자리에 눕는다. 따라서 늘 힘을 써야 하지만 지나치게 피로하지 않게 하여 영위榮衛를 소통시키고 혈맥이 고르게 잘 통하도록 힘써야 하니..

氣爲諸病 기는 모든 병의 원인이 된다 주진형은 "온몸을 돌아서 [사람을] 살리는 것이 기氣이다. 진실로 [칠정七情으로] 속을 상하지 않고 밖으로부터 [외사外邪를] 받지 않는다면 어찌 기병氣病이 있을 수 있겠는가. 냉기冷氣, 체기滯氣, 역기逆氣, 상기上氣는 모두 폐가 화사火邪를 받고 기가 올라타서 변화한 증상으로, [기가] 오르기만 하고 내려가지 않고 청도淸道를 훈증熏蒸하여 심하면 극劇한 병이 된다. 『국방발휘』에서 신향조열辛香燥熱한 약을 사용한 것은 화火로써 화火를 다스린 것이다"라고 하였다. ○ 장종정은 "모든 병은 기에서 생기며 모든 통증은 기로 말미암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 『만병회춘』에서는 "풍風으로 기를 상하면 동통疼痛이 생기고, 한寒으로 기를 상하면 전율戰慄이 생기고, 서暑로 기를 상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