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鍼灸法 침구법
모든 기氣의 질병에는 기해에 침을 놓고, 기역氣逆에는 척택, 상구, 태백, 삼음교에 놓으며, 애기噫氣와 상역上逆에는 태연, 신문에 놓으며, 단기短氣에는 대릉, 척택에 놓으며, 소기少氣에는 간사, 신문, 대릉, 소충, 족삼리, 하렴, 행간, 연곡, 지음, 간수, 기해에 놓는다(『신응경』).
○ 상기上氣에는 태충에 뜸을 뜨고, 기가 뭉치고 소화가 안 되면 태창, 냉기冷氣로 배꼽 밑이 아프면 관원에 뜸을 백장百壯 뜨며, 단기短氣는 대추에 나이 숫자만큼 뜸을 뜨고, 폐수에 백장, 신궐에 열네 장 뜨며, 또한 제5척추 밑에 나이 수만큼 뜸을 뜬다(『세의득효방』).
○ 기가 심에서 어지러우면 신문, 대릉에 놓고, 기가 폐에서 어지러우면 어제, 태계에 놓고, 기가 장위腸胃에서 어지러우면 태백, 함곡, 족삼리에 놓고, 기가 머리에서 어지러우면 천주, 대저, 통곡, 속골에 놓으며, 기가 비경臂脛에서 어지러우면 이간, 삼간, 내정, 함곡, 액문, 중저, 협계, 임읍에 놓는다(『영추』).
728x90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보감] 五味生神 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 (0) | 2023.02.11 |
---|---|
[동의보감] 神爲一身主 신은 온몸의 주인이 된다 (0) | 2023.02.11 |
[동의보감] 六字氣訣 육자기결 (0) | 2023.02.11 |
[동의보감] 禁忌 금기 (0) | 2023.02.10 |
[동의보감] 氣不足生病 기가 부족하면 병이 생긴다 (0) | 2023.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