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血汗 혈한 『내경』에서는 "소음少陰의 때에 이르면 육멸이 된다"고 하였는데, 왕빙은 주에서 "멸衊이란 혈한血汗이다"라고 하였다. ○ 유완소는 "담膽이 열을 받아 혈이 제멋대로 돌아다녀 코피가 나고, 아울러 혈한[피땀]이 나게 되면 정명산을 쓴다"고 하였다. ○ 『삼인극일병증방론』에서는 "병이 없던 사람이 땀으로 옷이 젖어 마치 엉겨 물든 것 같은 것을 혈한이라고 하고, 또 홍한[뻘건 땀]이라고도 한다. 지나치게 기뻐하면 심을 상하게 되는데, 지나치게 기뻐하면 기가 밖으로 흩어지게 되고 혈은 기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홍한이 나는 것]이다. 황기건중탕을 쓰면서 묘향산을 같이 먹는데, 금이나 은으로 만든 그릇에 소맥 · 맥문동을 넣고 달인 후 타서 먹는다. 또 임신부가 혈한이 나면 율초즙방을 쓴다"고 하였다.

齒衄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것 『의학입문』에서는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뉵齒衄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또 "잇몸은 족양명위경에 속하고, 치아는 족소음신경에 속하니, [병이] 양명경에서 소음경으로 전해들어가 두 경經이 함께 어우러지면 잇몸에서 피가 나온다. [피를] 토하면 사람들은 대부분 그것이 잇몸에서 나오는 것임을 알지 못하여 찬물로 양치질을 하는데, 그러면 피가 그치기는 하지만 잠시 후 다시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외용으로는 녹포산을 쓰고, 내복약으로는 해독탕에 서각지황탕을 합방하거나, 생지금련탕을 복용한다"고 하였다. ○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데는 형괴산이나 울금산, 소계산을 쓴다. 또 다른 처방. 잇몸에서 피가 많이 나면 끓인 소금물로 자주 입 안을 헹군 후 소금가루를 바른다. ○ 청죽여..

便血 대변 출혈 『내경』에서는 "결음結陰이라는 병은 대변을 보면서 피를 한 되 가량 쏟는 것인데, 두 번째 결음에는 두 되 쏟고 세 번째 결음에는 석 되 쏟는다"고 하였다. 낙용길의 주에 "결음이라는 병은 음기가 안으로 맺혀 밖으로 돌지 못하고 혈이 머무를 데가 없어서 창자 사이로 스며들므로 대변 출혈이 되는 것인데, 그 맥이 허虛하고 삽澁한 것이 바로 이 병이다. 이는 피가 맺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아래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평위지유탕, 결음단을 쓴다(『의학강목』). ○ 『영추』에서는 "사기가 오장에 있으면 음맥陰脈이 조화롭지 못하고, 음맥이 조화롭지 못하면 혈이 한곳에 머무르게 된다"고 하였다. 대개 사기가 오장을 침범하면 삼음三陰의 맥과 낙絡이 조화가 조화가 안 되어 맺히게 되고,..

尿血 요혈 『내경』에서는 "포胞의 열이 방광으로 옮겨가면 융이나 요혈이 된다"고 하였다. ○ 장기張機는 "열이 하초에 있으면 요혈이 된다"고 하였다. ○ 오줌에서 피가 나오는데 임병淋病이 되어 아프거나 오줌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은 방광에서 나온 것이다. 피가 나오면서도 아프지 않은 것은 심心의 열이 소장으로 옮겨져서 요도[精竅]로 나오는 것이다(『의학정전』). ○ 오줌으로 피가 나오더라도 아프지 않으면 요혈이지 임병이 아니다. 이것은 피가 요도로 나오는 것인데, 심의 열이 소장으로 옮겨가서 생긴 것이다. 사물탕에 치자 · 활석 · 우슬 · 황금 · 황련을 더하거나, 발화산, 호박산을 쓴다(『의학입문』). ○ 오줌으로 피가 나오는 것은 심의 열이 소장에 숨어 있는 것이다. 팔정산에 맥문동을 더하여 달여 먹..

咳血嗽血唾血喀血 해혈, 수혈, 타혈, 각혈 해혈은 기침을 심하게 하여 피가 나오는 것으로, 그 근본은 폐에 있다. 용뇌계소환이나 계소산, 현상고를 쓴다. ○ 수혈은 기침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으로, 그 근본은 비脾에 있다. 육군자탕에 상백피 · 편금 · 지각 · 오미자를 더하여 쓰고, 화기火氣가 있으면 가미소요산을 쓴다. ○ 타혈은 침을 뱉을 때 선홍색의 피가 나오는 것으로, 근본은 신에 있다. 자음강화탕을 쓴다. 침에 붉은 실처럼 피가 섞여나오는 것을 폐위肺痿라고 하는데, 치료가 어렵다. ○ 각혈은 작은 핏덩이를 뱉어내는 것인데 뱉어도 나오지 않다가 심하게 뱉으면 나오기도 하고 마치 실처럼 가는 핏줄기를 띠고 있기도 하는데, 이는 정혈精血이 고갈되었기 때문이다. 사물탕에 죽력 · 강즙 · 동변..

아보 도오루著 아보 도오루 선생은 병의 원인을 스트레스로 인한 과립구의 증가로 해석했습니다. 먼저, 아보 선생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백혈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통칭해서 사용하는 '백혈구'는 크게 과립구(60%)와 림프구(35%)로 나뉩니다. 과립구는 자율신경중 교감신경이 우위에 있을 때 작용이 활발해지며, 침투한 세균들과 전투를 벌여 화농성火膿性 염증을 일으킵니다. 그러므로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염증의 60%는 과립구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림프구는 자율신경중 부교감신경이 우위에 있을 때 활발해지며 T세포, B세포, NK세포 등으로 구성되고, 과립구가 잡아 먹지 못하는 작은 항원을 상대로 하여 싸웁니다. 또한 암세포와 같은 변이된 세포를 처리하기도 합니다..

嘔血吐血 구혈과 토혈 피를 한 사발 정도 게우면서 소리가 나면 구혈이라 하고, 피를 한 동이 정도 게우면서 소리가 없는 것을 토혈이라 한다(『의학입문』). ○ 구혈과 토혈은 위胃에서 나오는 것인데, 실증일 때는 서각지황탕을 쓰고, 허증일 때는 소건중탕에 황련을 더하여 쓴다(『단계심법』). ○ 『천금방』에서는 "토혈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내뉵內衄과 폐저肺疽와 위胃가 상하여서 생기는 것[傷胃]이 그것이다. 내뉵은 피가 나는 것이 코피와 같지만 피가 코로는 나오지 않고 심과 폐 사이에서 위로 흘러 들어가는데, 팥죽 같기도 하고 썰어 놓은 선지 같은 피가 위안에 뭉쳐서 머물러 있기 때문에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여 바로 토하게 되는데, 여러 말에서 한 섬까지 토하는 것이다. 이는 과로하거나 음식을 너무 많이 먹..

止衄血 코피를 그치게 하는 법 코피가 오랫동안 그치지 않는데, 다른 모든 약이 효과가 없을 때 이 방법이 매우 효과가 좋다. 큰 흰 종이 한 장이나 두 장을 10여 번 접어 찬물에 적셔 정수리에 얹어놓고 뜨거운 다리미로 다리는데, 종이 한두 겹이 마를 때까지 다림질하면 피가 곧 그친다(동원). ○ 코피가 어떤 약으로 치료하여도 그치지 않을 때는 실로 가운뎃손가락의 가운데 마디를 꽉 묶는다. [콧구멍] 왼쪽에서 피가 나오면 오른손 가운데 마디를 묶고, 오른쪽에서 피가 나오면 왼손 가운데 마디를 묶는다. 양쪽에서 모두 나오면 양쪽 모두 묶는다. 어떤 방법에서는 색실을 쓴다(『종행선방』). ○ 코피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하려면, 백급을 가루내어 찬물에 개어 산근山根 위(양 눈썹 사이)에 바르면 곧 그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