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用藥法 약 쓰는 법 몸이 허하여 꿈이 많으며 어지러운 데는 인삼 · 용골을 더하여 쓴다(『본초』). ○ 담膽이 허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한寒 때문인데, 산조인을 볶아 가루내어 죽엽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담이 실하여 잠을 많이 자는 것은 열熱 때문인데, 산조인 날것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볶아서 좋은 차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해장). ○ 어떤 사람이 두려움 때문에 병을 얻어 누가 잡으러오는 것 같아서 편안히 잠을 자지 못하고 입맛이 없었다. 인삼 · 백출 · 당귀신을 군약으로, 진피를 좌약으로 하고, 소금물에 불려 볶은 황백과 구운 현삼을 각각 약간씩 넣어 사약使藥으로 하여서 달여 먹기를 한 달 남짓하였더니 나았다. 이것은 두려움으로 인하여 신腎을 상한 것이므로 소금물에 축여 볶은 황백과 구운..

辟惡夢 나쁜 꿈을 피한다 밤에 나쁜 꿈을 꾼 것을 남에게 말하면 안 된다.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칼을 들고 입에 물을 머금었다가 칼에 내뿜으면서 "악몽착초목, 호몽성주옥[나쁜 꿈은 초목에 붙고, 좋은 꿈은 주옥珠玉이 되어라]"이라고 주문을 외우면 재앙이 없다. 꿈이 좋거나 나쁘거나 모두 남에게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세의득효방』). ○ 사향을 오랫동안 먹으면 꿈을 꾸거나 가위눌리지 않는다. 또한 좋은 사향 한 제를 베개 속에 넣어두고 베면 사기를 없애고 나쁜 꿈을 피할 수 있다(『본초』). ○ 소합향蘇合香은 꿈이나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는데, 먹거나 몸에 지닌다(『본초』). ○ 호랑이 머리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나쁜 꿈을 피하고, 가위눌리는 것을 없앨 수 있다(『본초』). ○ 서각犀角은 가위눌리..

寢睡法 잠자는 법 잠을 잘 때는 옆으로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고 자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심기心氣를 도와준다. 깨어 있을 때는 몸을 펴고 있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정신이 산만하지 않다. 대개 몸을 반듯하게 뻗고 잠을 자면 헛것[나쁜 기운]을 불러들이게 된다. 공자가 죽은 사람처럼 똑바로 누워서 자지 않았다는 것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활인심』). ○ 낮잠을 자면 안된다. 낮잠을 자면 기운이 빠진다. 또한 밤에 잘 때는 항상 입을 다물고 자야 하는데, 입을 벌리고 자면 기운이 빠지고 사기가 입으로 들어와 병이 생긴다. 무릎을 구부리고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것은 기력을 도와주는데, 바로 눕는 것보다 낫다. 공자는 죽은 사람처럼 똑바로 누워서 자지 않았는데, 그러므로 '잘 때는 움츠리기를 좋아하고 ..

身重嗜臥 몸이 무거우면 잠자기를 좋아한다 황제가 "잠이 많은 것은 어떤 기가 그렇게 하는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이러한 사람은 장위腸胃가 크고 피부가 습하고 분육分肉이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장위가 크면 위기衛氣가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고, 피부가 습하면 분육이 풀리지 않아 위기가 더디게 돈다. 위기라는 것은 낮에는 양분陽分을 돌고 밤에는 음분陰分을 돈다. 양분을 다 돌면 잠을 자게 되고, 음분을 다 돌면 깨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장위가 크면 위기가 도는 데 오래 걸리고, 피부가 습하고 분육이 풀리지 않으면 그 도는 것이 더디게 된다. 음분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면 그 기가 맑지 못하여 눈이 감기기 때문에 자게 된다"라고 하였다(『영추』). ○ 간이 허하거나 신이 허하거나 비가 허하면 몸이 무겁고 답..

臥不安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하는 것 사람이 누워 자면 혈血은 간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혈이 안정되지 못하면 누워 자려 하여도 혈이 간으로 돌아가지 못하므로 가슴이 두근거려서 잠을 자지 못하게 된다(『의학강목』). ○ 황제가 "잠을 자기는 하지만 편안치 않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대답하기를 "오장이 상하고 정기가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환자 자신은 병이 있는 줄 알지 못하지만 그런 병이 들면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한다"고 하였다(『내경』). 십사우원으로 치료하는데, 심과 간이 허하여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하는 것도 치료한다. ○ 황제가 "사람이 바로 누워 자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폐肺는 다른 장기를 덮고 있는데, 폐기가 왕성하면 폐가 커지고 폐가 커지면 바로..

睡辨陰陽虛實 잠자는 것으로 음양의 허실을 나눈다 상한傷寒이나 잡병雜病으로 잠을 많이 자는 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하기 때문이고,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하기 때문이다. 밝은 곳을 좋아하는 것은 양증陽證에 속하며 원기元氣가 실한 것이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것은 음증陰證에 속하며 원기가 허한 것이다. 벽을 향하여 자는 것은 음증에 속하며 원기가 허한 것이고, 밖을 향하여 자는 것은 양증에 속하며 원기가 실한 것이다(『만병회춘』).

老少之睡不同 노인과 젊은이가 잠자는 것이 다르다 황제가 "노인은 밤에 잘 자지 않고, 젊은이는 낮에 잘 자지 않는 것은 무슨 기운 때문에 그렇게 되는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젊은이는 기혈이 왕성하고 기육肌肉이 매끄럽고 기가 도는 길이 잘 통하여 영기와 위기가 도는 것이 정상 상태를 잃지 않으므로 낮에는 정신이 맑고 밤에는 잔다. 그러나 노인은 기혈이 쇠약하고 그 기육이 마르고 기가 도는 길이 막혀서[澁] 오장의 기운이 서로 충돌하게 되고 영기가 쇠약해져서 위기가 안으로 들어가 대신하게 되므로[榮氣를 치게 되므로] 낮에는 정신이 맑지 못하고 밤에는 자지 못한다"고 하였다(『영추』).

소금 없이는 모든 생물이 존재할 수 없다는 증거 죽염요법, 김윤세著 태평양 물을 잘 이용하면 모든 건강은 확실한 거요. 그럼 그건 뭐이냐? 죽염이라는 건데, 죽염을 가지고 얘기하면 지금 현실은 소금은 해롭다? 그러면 자연은 어떻게 되느냐? 소금이 없이는 모든 생물이 존재할 수 없다. 그 증거는 뭐이냐? 제 큰 산 밑에 나뭇잎이 필 적에 곡우穀雨때부터, 곡우 입하入夏에 배를 타고 나가며 보았고, 또 소금 염전하는 사람들한테 물어본다. 나뭇잎이 필 적에 바닷물 1톤에서 나오는 소금량이 얼마고 가을에 가서 나오는 소금량이 얼마다. 이러면 그걸 계산을 해보면 이제 바로 큰 산 밑의 바다엔 대개 0.5%가 줄었다는 증거인데 몇 천 미터에 나가게 되면 약간은 줄어요. 그런데 집에서 가마니에 넣어 둔 소금은 대개 3..

5천도 고열高熱에서 이루어지는 신약神藥 - 죽염의 비밀 죽염요법, 김윤세著 그래서 내가 약藥으론, 거기에 약이 있는데 우선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가치가 어디 있느냐? 연평도 천일염인데, 연평도 바다의 물로 만든 천일염, 이걸 가지고 우리 나라 왕대王竹에다 구워 나가는데, 마지막에 5천도 이상 고열로 처리하면 그 5천도의 고열에서 따라오는 우주의 모든 색소色素가 그놈이 다 색소가 들어오는데, 들어오게 되면 그 고열에서 이루어지는 게 뭐이냐? 그 분자라는 건 고열에서 다 녹아서 파괴돼요. 그런데 불속에서 생기는 분자가 있다. 그게 뭐이냐? 암치료 약이다 이거야. 또 포자가 있다. 그게 뭐이냐? 인간 생명을 다시 존속시킬 수 있는 힘이 있다. 그래서 그 5천도 고열 속에서 생기는 분자와 포자는 상상을 못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