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피 하루 3-4잔, 당뇨병 막는 데 도움 커피가 당뇨병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커피 과학정보 연구소가 종합한 연구논문에서 커피를 하루 3~4잔 마시는 사람은 2잔 미만을 마시거나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성인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2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가 당뇨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이유로는 카페인이 체내의 대사를 자극해 에너지 소비를 촉진시키는 '에너지 소비 가설'이 제시됐다. 이와 함께 염증 경로 조절, 세포의 산화스트레스 완화 등을 통해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하는 물질이 커피에 들어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번 종합 연구는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열린 '당뇨병과 합병증 예방에 관한 2012년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脈法 맥법 촌구맥寸口脈이 미微하고 삽澁한 경우, 미한 것은 위기衛氣가 부족한 것이고, 삽한 것은 영기榮氣가 넉넉하지 못한 것이다. 위기가 부족하면 호흡이 짧고 형체가 메마르며, 혈이 부족하면 그 형체가 순조롭지 못하다. 영위榮衛가 모두 허하면 말이 어긋나고 그릇되게 된다(『맥경』). ○ 심맥心脈이 뛰는 것이 견堅하고 장長하면 혀가 말려서 말을 하지 못하는 병이다(『내경』). ○ 심맥이 몹시 색濇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수소음의 별맥을 '통리通里'라고 하는데, 이 맥은 갈라져 위로 올라가 심에 들어가고 혀뿌리와 이어지므로 [수소음맥이] 허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영추』).

一方 다른 처방 어떤 남자가 상한傷寒으로 열이 나서 갑자기 정신이 흐려지고 말을 하지 못하게 되었는데, 몸이 허하여 담이 생긴 것으로 보고 치료하였다. 인삼 서 돈, 황기 · 백출 · 당귀 · 진피 각 한 돈을 달여서 죽력과 강즙을 넣어 마시게 하였는데, 열사흘 만에야 비로소 말을 한 마디 하였고, 보름이 지나서 혀를 제대로 움직여 말을 하게 되었으며, 열이 없어지자 다 나았다(이것은 담痰이 막혀서 생긴 병이다). ○ 어떤 남자가 술 마시기를 좋아하여 많이 마시다가 피를 토한 후에 말을 하지 못하게 되었는데, 단지 목이 말라서 물을 마시고 맥이 약간 삭數하였는다. 당귀 · 작약 · 천궁 · 숙지황 각 한 돈, 백출 · 인삼 각 두 돈, 진피 한 돈 반, 감초 다섯 푼을 물로 달여 죽력 · 동변 · 강즙을..

痰塞亡血亦爲瘖 담이 막거나 망혈이 되어도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족소음경맥은 혀뿌리를 끼고 흐르고 족태음경맥은 혀뿌리에 연결되고 수소음경의 별맥[手少陰別脈]은 혀뿌리와 이어지므로, 이 세 경맥이 허하면 담연痰涎이 그 허한 틈을 타서 그 경맥의 길을 막게 되어 혀를 잘 움직이지 못하고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 세 경맥에 망혈亡血이 되면 혀가 혈의 영양을 받지 못하여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내경』에서 "족소음맥에 침을 놓아 출혈이 되어 [신기腎氣가] 더욱 허해지면 혀가 잘 움직여지지 않아 말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또 "혀 아래의 경맥에 침을 지나치게 놓으면 피가 그치지 않아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는데, 치료는 혈血을 보하여야 한다. 이 세 경맥에 풍열風熱의 사기가 침입하면 혀의 맥脈..

瘖不得語 음병瘖病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내경』에서는 "사기가 음분陰分에 침입하여 부딪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는데, 설음舌瘖과 후음喉瘖의 차이가 있다(자세한 것은 「성음문聲音門」에 있다). ○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하나만이 아니다. 혀가 뻣뻣하여 말을 하지 못하는 것, 정신이 흐려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이를 악물어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혀가 늘어져서 말을 더듬는 것, 혀가 마비되어 말을 더듬는 것이 있는데, 그 중에는 담痰을 치료하여야 하는 것, 풍風을 치료하여야 하는 것, 정신을 안정시켜야 하는 것, 기혈을 보양하여야 하는 것이 있으므로 각각 그 활용하는 법에 따라 치료한다(『고금의감』). ○ 기혈이 허손되었거나 신이 허하거나 노인이기 때문에 갑자기 말이 나오지 않으면 십전대..

言語譫妄 말하는 것이 헛되고 망령된 것 스스로 하는 말을 '언言'이라 하고, 다른 사람에게 대답하는 말을 '어語'라고 한다(『세의득효방』). ○ 『내경』의 왕빙 주註에서 "섬譫[헛소리]이란 어지럽게 말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섬[헛소리]이란 망령된 것이다. 평소 일상적인 일을 혼자서 중얼거리거나, 눈을 뜨고 다른 사람들에게 보지 못한 일을 말하거나, 혼자 말을 하거나 잠자면서 지껄이거나 신음을 그치지 않거나, 심하면 미친 소리를 하고 욕을 하는데, 모두 섬어라고 한다. 모두 위胃의 열이 심心을 억누른 까닭에 생긴다(자세한 것은 「한문寒門」에 있다). ○ "사기가 양명경에 들어가면 헛소리를 하고 망령된 말을 한다고 하는데, 이것이 과연 양명경 때문인가?"라고 물었다. 대답하기를 "차가운 기운에 상할 ..

鍼灸法 침구법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으면 천돌혈에 침을 놓는다(『영추』). ○ 궐기가 후두로 치밀어 올라 말을 하지 못하면 조해혈에 놓는다(『영추』). ○ 후비喉痺로 갑자기 벙어리가 되면 풍륭혈에 놓는다(『영추』). ○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고 기천氣喘의 증상을 보이면 부돌혈과 염천혈에 놓는다(『영추』). ○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으면 신문혈과 용천혈에 놓는다(『의학강목』). ○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면 합곡, 양교, 통곡, 천정, 기문, 지구, 용천혈에 놓는다(『침구갑을경』).

通治聲音藥 목소리를 두루 치료하는 약 보통 목소리가 맑지 않으면 가미고본환, 가미상청환, 요량환, 발성산, 가자산, 가자청음탕, 출성음방을 쓴다. 一方 다른 처방 어떤 사람이 마른기침을 하다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썼다. 백출 두 돈, 인삼 · 귤홍 각 한 돈 반, 반하국 한 돈, 백복령 · 상백피 · 천문동 각 일곱 푼, 감초 · 청피 각 서 푼, 오미자 스무 알, 지모 · 지골피 · 과루인 · 길경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달여 먹는데, 여름에는 황금 다섯 푼을 더 넣는다. 이어 사물탕에 동변童便, 죽력, 생강즙, 황백(볶은 것)을 넣어 먹는다. 이 두 가지 약을 밤낮으로 서로 바꾸어가면서 두 달을 먹으면 목소리가 나오고 낫는다(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