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飮諸病 담음으로 생기는 여러가지 병 담으로 병이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가벼운 때는 가래가 맑고 묽으며, 냄새나 맛도 별로 없다. 오래되어 중해지면 가래가 누렇고 흐리며 걸쭉하게 뭉쳐져 뱉어도 잘 나오지 않고 점차 나쁜 맛이 나는데, 신맛, 매운맛, 비린내, 노린내, 짠맛, 쓴맛이 나고 심하면 피도 섞여나온다. 담증이 처음 생길 때는 두통과 발열이 있어 외감표증과 비슷하지만 오래되면 기침이 몰려오고 밤에 더 심하여 내상음화內傷陰火 증상과 비슷하다. 또 담음이 팔다리 마디로 흘러 들어가면 통증이 풍증風證과 비슷하다. 다만, 담증은 가슴이 그득하여 먹는 게 줄어도 피부색은 여전하며, 맥은 활하면서 고르지 않고 부위가 일정하지 않음이 [다른 병과] 다르다.『의학입문』 ○ 담으로 병이 되면 기침을 하고 가래가..
痰飮外證 담음의 상태가 겉으로 드러난 증상 『영추』에서는 "팔 안쪽의 피부가 거칠어져 마른 물고기의 비늘같이 되는 것은 수水가 넘처 음飮이 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 색이 선명하면 유음이 있는 것이다. 또 "맥이 대大하면 오목가슴에 유음이 있고, 환자의 등이 얼음처럼 차갑다"고 하였다. ○ 심心에 수水가 있으면 오목가슴이 뜬뜬하고 숨이 차며 물을 싫어하여 마시려 하지 않는다. ○ 폐에 수가 있으면 거품이 섞인 침[涎沫]을 토하면서 물을 마시려고 한다. ○ 비脾에 수가 있으면 기운이 없고 몸이 무겁다. ○ 간에 수가 있으면 옆구리 밑이 그득하면서 재채기를 하면 통증이 있다. ○ 신腎에 수가 있으면 오목가슴이 두근거린다(중경). ○ 담이 있으면 눈꺼풀과 눈 아래에 반드시 재나 그을음같이 거무스름한 빛이 나..
脈法 맥법 왼쪽과 오른쪽의 맥이 모두 현弦한 것은 한음寒飮이고, 한쪽만 현한 것은 음飮이다. ○ 폐음肺飮에는 현맥이 나타나지 않고 단지 심하게 기침을 하면서 숨이 차다. ○ 맥이 침하면서 현한것은 현음으로, 속이 아프다. ○ 맥이 부하면서 세활한 것은 음飮에 상한 것이다(중경). ○ 한쪽 맥이 현한 것은 음飮인데, 맥이 침현활沈弦滑하거나 결맥이거나 복맥이면 담음이 뼈마디에 침범한 것이다. 【맥경】 ○ 「맥리제강」에서는 "담맥은 현활하다"고 하였다. ○ 『삼인극일병증방론』에서는 "음맥飮脈은 모두 현하면서 미침활하다"고 하였다. ○ 맥이 침현세활하면서 크기가 고르지 않은 것은 모두 담음으로 된 병이다. 【고금의감】 ○ 오랫동안 색맥濇脈이 나타나면 반드시 잘 조리하여야 하는데, 대개 담이 아교풀같이 되어 맥도..
痰病有十 담병에는 열 가지가 있다 담병에는 풍담, 한담, 습담, 열담, 울담, 기담, 식담, 주담, 경담이 있다. 담의 근원은 한 가지가 아니어서 열로 인하여 생기는 것, 기로 인하여 생기는 것, 풍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 놀라서 생기는 것, 마셔서 생기는 것, 먹어서 생기는 것, 더위[暑]로 인하여 생기는 것, 냉冷에 상하여 생기는 것, 비허脾虛로 인하여 생기는 것, 술로 인하여 생기는 것, 신허腎虛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 있다. 【단계심법부여】 風痰 풍담 풍담은 흔히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특이한 증상이 있으며, 두풍으로 어지럽고, 암풍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심란하거나, 또는 경련이 일고 살갗이 떨리는데, 청주백원자, 도담탕을 쓴다. 【단계심법부여】 寒痰 한담 한담은 곧 냉담이다. 뼈가 저리고 팔다리를 들..
支飮 지음 기침이 치밀어올라 기대어 숨을 쉬거나 숨이 차서 눕지를 못하고 몸이 마치 부은 것 같은 것을 지음이라고 하는데, 소청룡탕이 주치한다. 또 맥이 삭數하면 반드시 몸시 어지러운데, 이것은 본래 환자의 가슴속에 지음이 있기 때문이다. 복령오미자탕이 주치한다(중경). ○ 지음은 또한 기침이 나서 누울 수가 없으며, 이에 더하여 숨이 찬데 맥은 고르게 나타난다(중경). ○ 지음은 물이 횡격막 위에 머물러 있어서 기침이 치밀어올라 기대어 숨을 쉬거나 숨이 찬 것을 말한다.【의학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