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臟中邪 오장이 사기의 침입을 받음 황제가 "사기가 오장에 어떻게 침범하는가"라고 물었다. 기백이 "걱정하고 근심하며 두려워하고 무서워하면 심心이 상한다. 몸이 찬데도 찬 것을 마시면 폐肺가 상하는데(『난경』에는 '寒飮'은 '飮冷'으로 되어 있다). 두 가지 찬 기운[몸이 찬 것과 마실 것이 찬 것]을 받아서 속과 겉이 모두 상하기 때문에 기가 거꾸로 치밀어 오른다. 높은 곳에서 떨어진 적이 있어서 나쁜 피가 속에 머물러 있는데, 성을 몹시 내어 기가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않고 옆구리 아래에 쌓이게 되면 간肝이 상한다. 맞아서 넘어진 적이 있는데, 술에 취한 채 성행위를 하거나 땀이 난 상태로 바람을 맞으면 비脾를 상한다. 무거운 것을 힘써서 들어올린 적이 있는데,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거나 땀이 난 상태로..
臟又有九 장에는 또 아홉 가지가 있다 『내경』에서는 "신장神臟이 다섯 개이고, 형장形臟은 네 개이니 합하면 아홉 장이 된다"고 하였다. 왕빙은 "간은 혼魂을 간직하고, 심은 신神을 간직하며, 비는 의意를 간직하고, 폐는 백魄을 간직하며, 신은 지志를 간직하므로 신장이 다섯 개라고 한 것이다. 형장은 첫째는 머리, 둘째는 귀와 눈, 셋째는 입과 이, 넷째는 가슴속인데 이들은 마치 그릇처럼 밖으로 넓혀져 있어 속은 비어 있으나 우그러들지 않아서 물건을 담을 수 있으므로 형장이 네 개라고 한것이다"라고 하였다. 腑又有六 부腑도 여섯 가지가 있다 『내경』에서는 "뇌, 수髓, 뼈, 맥, 담, 자궁 등의 여섯 가지는 땅의 기운으로 생겼는데, 기항지부奇恒之府라 한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에서는 "항상지부[육부]와 다..
五臟有小大 오장에는 크고 작음의 차이가 있다 『영추』에서는 "오장이 모두 작은 사람은 몹시 속을 태우고 근심과 걱정이 많으며, 오장이 모두 큰 사람은 일에 느긋하고 근심 걱정이 없다. 오장의 위치가 모두 높은 사람은 행동거지를 높이기 좋아하고, 오장의 위치가 낮은 사람은 남의 밑에 들어가기를 좋아한다. 오장이 모두 튼튼하면 병을 앓지 않고, 오장이 모두 약하면 병이 떠나지 않는다. 오장이 모두 바르면 잘 화합하고 원만하여서 남의 인심을 얻으며, 오장이 모두 비뚤게 놓여 있으면 나쁜 마음을 가져 도둑질을 잘 하며 다른 사람들의 기준이 되지 못하니, 이는 말을 잘 뒤집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五臟有官 오장에는 각기 기관器官이 있다 『영추』에서는 "코는 폐에 속한 기관이므로, 폐에 평이 생기면 숨이 차고 코를 벌름거리게 된다. 눈은 간에 속한 기관이므로, 간에 병이 생기면 눈언저리가 퍼렇게 된다. 입술은 비에 속한 기관이므로, 비에 병이 생기면 입술이 누렇게 된다. 혀는 심에 속한 기관이므로, 심에 병이 생기면 혀가 말려들어 짧아지며 광대뼈 부위가 벌겋게 된다. 귀는 신에 속한 기관이므로, 신에 병이 생기면 광대뼈 부위와 얼굴이 검고 초췌한 듯 까칠하다"고 하였다.
五臟通七竅 오장은 칠규와 통한다 『영추』에서는 "오장은 항상 속에 있으면서 위에 있는 칠규七竅를 거느린다. 따라서 폐기는 코와 통하므로 폐기가 조화되면 코가 좋고 나쁜 냄새를 잘 맡을 수 있다. 심기는 혀와 통하므로 심기가 조화되어야 혀가 오미를 잘 구분한다. 간기는 눈과 통하므로 간기가 조화되면 눈이 오색을 가려볼 수 있다. 비기는 입과 통하므로 비기가 조화되면 입이 오곡을 잘 구분한다. 신기는 귀와 통하므로 신기가 조화되면 귀가 오음을 잘 들을 수 있다. 오장이 조화롭지 못하면 칠규(어떤 곳에서는 구규로 되어 있다)가 통하지 못하고, 육부가 조화롭지 못하면 흐르지 못하고 맺혀 옹이 된다"고 하였다.
臟腑有合 장과 부는 서로 합이 있다 『영추』에서는 "폐는 대장과 합合이 되는데 대장은 전도지부傳道之府라고 하며, 심은 소장과 합이 되는데 소장은 수성지부受盛之府라 하고, 간은 담과 합이 되는데 담은 중정지부中正之府라고 하며, 비는 위와 합이 되는데 위는 오곡지부五穀之府라 하고, 신은 방광과 합이 되는데 방광은 진액지부津液之府라고 한다. 소음경은 신에 속하는데, 신은 위로 폐와 연결되므로 두 개이어야 한다. 삼초는 중독지부中瀆之府인데, 물길이 나가므로 방광에 속하나 합이 없는 부이다. 이것이 육부가 [오장과 서로] 합이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臟腑異用 장과 부는 쓰임이 다르다 『영추』에서는 "오장은 정, 신, 혈, 기, 혼, 백을 간직하고, 육부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진액을 돌게 한다"고 하였다. ○ 『내경』에서는 "오장은 정기를 저장하기만 하고 내보내지는 않기 때문에 가득 차도 실實해지지 않는다. 육부는 음식물을 소화시켜 보내기만 하고 저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실해져도 가득 차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음식을 먹으면 위는 가득 차나 장은 비어 있게 되고, 음식물이 내려가면 장은 가득 차나 위는 비어 있게 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 비, 위, 대장, 소장, 삼초, 방광은 창고의 근본이며 영기營氣가 머물러 있는 곳이므로 그릇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찌꺼기를 소화시켜 미味로 바꾸어 이를 받아들이기도 하고 내보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