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飮 : 鍼灸法 침구법 모든 담음병에는 풍륭과 중완에 침을 놓는다. ○ 가슴속에 담음이 있어 토하고 구역질을 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데는 거궐과 족삼리에 놓는다. ○ 일음溢飮에는 중완에 놓는다.『침구갑을경』 ○ 삼초에 물[水]이 정체되어 그 기가 공격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면 유도, 중봉, 위수, 신수에 놓는다(동원). ○ 담이나 연涎으로 생기는 병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오직 노채에 담이 있는 것만은 치료하기 어렵다. 서둘러 고황혈에 뜸을 뜨는 것이 좋다. 뜸을 많이 뜨면 아래로 무언가 내려가는 있어, 마치 물이 졸졸 흘러 내려가는 것 같은데, 이는 담이 내려가는 것이다.『침구자생경』
痰飮治病 담음을 치료하는 법 비토脾土를 실하게 하고 비습脾濕을 마르게 하는 것이 근본을 치료하는 것이다.『단계심법부여』 ○ 허약한 사람의 중초에 담이 있을지라도, 위기胃氣는 담음에 힘입어 영양을 받으므로 갑자기 [담을] 몰아내서는 안 된다. 담음을 다 몰아내면 더욱 허약해지기 때문이다.『단계심법』 ○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약[利藥]을 너무 많이 써서 담을 치료하여 비기脾氣가 쳐지고 허약해지면 담이 오히려 더 쉽게 생겨 많아지게 된다. 치료법은 비위를 보하고 중기中氣를 맑게 하면 담은 저절로 없어진다. 이것이 근본을 치료하는 법이다.『단계신법』 ○ 담을 치료할 때는 먼저 기를 고르게 하여야 하며, 담을 갈라서 빼내는 것[分導]은 그 다음이다. 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은 화火에 속하는데, 기가 움직여[動]..
痰飮吐法 담음에 토하는 법 담이 횡격막 상부에 있으면 반드시 토하는 법을 써야 한다. 설사를 시켜서는 제거할 수 없다. ○ 맥이 부한 환자는 토하게 하여야 한다. ○ 담이 아교풀같이 굳고 걸쭉하고 탁한환자는 토법을 써야 한다. ○ 담이 경락에 있으면 토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토법에는 발산發散한다는 뜻도 있어서, 오직 담을 내보내는 데만 뜻이 있는 것이 아니다. ○ 토하게 하는 약을 쓸 때는 기를 끌어올려 토하게 하여야 한다. 방풍 · 치자 · 천궁 · 길경 · 아다芽茶 · 생강 · 구즙 같은 것이나 이진탕으로 토하게 하고, 또는 과체산을 쓰기도 한다. 『단계심법』
痰病難治證 담병의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 기가 실하고 열담이 있어 토하고자 하나 잘 나오지 않고, 혹 덩어리를 이루어 뱉어도 나오지 않는 것은 기가 뭉친 것으로 치료하기 어렵다. 또한 "기가 실하고 담열痰熱이 뭉친 것도 고치기 어렵다"고 하였다. 『단계심법』 ○ 목구멍에서 그렁그렁 하는 소리가 나고 숨이 몹시 차며 담을 뱉어도 나오지 않는 것은 고치기 어렵다. 또 "약을 복용한 후에 담을 뱉으면 낫지만, 담을 뱉어도 나오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만병회춘』 ○ 담연痰涎 등의 병은 매우 많지만, 오직 노채勞瘵에 담이 있게 되면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는 서둘러 고황과 사화혈에 뜸을 뜨는 것이 가장 좋다. 『침구자생경』 ○ 폐경과 위경이 허하면 걸쭉한 담이 생기는데 담은 폐와 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痰結 담이 맺힌 것 목구멍에 무언가 있어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 것이 바로 담결痰結이다. 『고금의감』 ○ 목구멍에 무언가 있어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 것은 노담老痰이다. 병이 심하면 토하도록 하고 가벼우면 과체산을 쓰며, 기운이 실한 사람은 형력을 쓴다. 『단계심법』 ○ 담이 뭉친 덩어리가 목구멍에서 말라붙어 움직이지 않을 때는 담을 삭이는 약에 굳은 것을 연하게 하는 짠맛의 약을 더 넣어야 하는데, 절재화담환이 가장 좋다. 이와 같은 노담은 술을 마시는 사람에게 많은데, 술의 열이 상승하여 폐위肺胃에 몰려서 생긴 것이다. 이러한 담에는 천문동 · 황금으로 폐화肺火를 씻어내리고, 해분과 망초의 짠맛으로 굳은 것을 연하게 하며, 과루인으로 폐를 축여주어 담을 내리고, 향..
喜唾痰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 가슴속에 찬 기운이 있으면 가래침을 자주 뱉는다. 『태평혜민화제국방』 ○ 비脾가 허하여 신수腎水를 이기지[剋] 못하여 가래침을 많이 뱉으면서도 기침을 하지 않는 데는 팔미원을 쓴다. 또한 "팔미원은 비와 신이 모두 허하여 가래침을 많이 뱉으면서도 기침을 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단계심법부여』 ○ 큰 병을 앓고 난 후에 가래침을 많이 뱉는 것은 위胃가 냉한 때문이니, 이중탕을 쓴다. 『의학입문』 ○ 환자가 흰 거품이 섞인 침을 자주 뱉는 것은 위의 입구에 찬 기운이 머물러 있는 것이니, 익지인을 더 넣는다(단심). ○ 가래침을 자주 뱉으면 반하온폐탕을 쓴다(동원). 또는 이진탕에 정향 · 축사인을 더 넣어 쓴다.
담괴 痰塊 온몸에 종독腫毒 같은 덩어리가 피부와 근막 사이에 많이 있는 것은 바로 습담이 돌아다니다가 덩어리를 만들어 흩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평소에 어떤 음식을 잘 먹었는지를 물어보고 약을 써서 토하게 하거나 설사를 하게 한 후 담을 삭이고 덩어리의 핵을 흩어지게 하는 약을 쓴다. 이진탕에 대황, 연교, 시호, 길경, 백개자,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을 더 넣고 달인 물에 죽력을 넣어 자주 먹으면 저절로 없어진다. 『단계심법』 ○ 담음이 가슴과 등, 머리와 목,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허리와 허벅지, 손발에 돌아다녀 뭉쳐서 붓고 딴딴해지는데, 아프기도 하고 안 아프기도 하다. 눌러보아도 살갗이 붉어지지는 않는데, 붉어진다고 하여도 조금 붉어지는 정도이며 [피부색이] 담박하면서 열은 나지 않..
痰病有似邪祟 담병에는 사수와 비슷한 점이 있다 혈과 기는 사람의 신神이다. 신의 기가 허약하고 부족하면 사기가 이를 틈타 안으로 들어오는 수가 있다. 만약 혈과 기가 모두 허약하면 담이 중초에 침입하여 기혈의 오르내림이 방해를 받아 [기혈이] 잘 돌지 못한다. 이로써 열두 장기가 그 기능을 잃어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허망하게 된다. 이것을 사수邪祟로 보고 치료하면 그 환자는 반드시 죽게 된다(동원). ○ 먼저 생강과 소금 끓인 물을 많이 마셔서 토하게 하거나 죽력이나 참기름을 먹여 담을 씻어낸 다음 도씨도담탕을 먹는다.
痰飮流注證 담음이 돌아다니는 증상 환자가 갑자기 가슴, 등, 팔, 다리, 허리, 사타구니에 은근한 통증이 있어 참을 수가 없고, 근육과 뼈까지 이어져 낚싯줄을 당기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 앉으나 누우나 편안하지 않으며, 때때로 아픈 곳이 일정하지 않게 움직이는데, 세속의 의사들은 이것이 무언지 알지 못하고 주주走注라고 하여 곧 풍에 쓰는 약과 침구를 사용하는데 모두 효과를 보지 못한다. 또 풍독이 뭉쳐 옹저가 되려는 것으로 의심하여 약을 마구 쓰는데 이 역시 잘못된 것이다. 이는 담연이 가슴 위아래에 잠복하고 변하여서 이런 질환이 되는 것이다. 혹 환자가 두통으로 머리를 들지 못하거나, 정신이 어지럽고 노곤해하며 잠을 많이 자거나, 음식의 맛을 모르며 가래침이 걸쭉하여 밤에 목구멍에서 톱질하는 듯한 가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