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止汗法 땀을 멈추는 방법 땀이 나서 그치지 않아 망양증이 될 우려가 있으면 온분溫粉이나 홍분紅粉을 [땀이 나는 곳에] 두드려 뿌려준다. 또는 독승산獨勝散으로 배꼽을 매운다. ○ 혹은 모려 · 맥부 · 마황근 · 고본 · 나미 · 방풍 · 백지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온몸에 두드려 바른다.【의학입문】 ○ 마황을 잘못 써서 환자가 망양증이 되어 땀이 나는 것이 그치지 않으면, 환자의 머리카락을 물에 담그고 외용으로 나미가루나 용골 · 모려의 가루를 두드려 바른다.【의학입문】

亡陽證 망양증 땀이 많이 나서 그치지 않는 것을 망양증이라 하고, 또 땀이 나지 않는 것도 망양증이라고 한다. [이때] 가슴이 막힌 듯하며 [열이 몰려서] 답답하고 얼굴이 푸르고 피부가 떨리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얼굴색이 누렇고 손발이 따뜻하면 치료할 수 있다【의학입문】. ◯ 땀이 줄줄 흐르는 것이 그치지 않으면 진양眞陽이 모두 없어지게[亡] 되므로 망양이라고 부른다. 이때는 몸이 반드시 찬데, 흔히 한비증寒痺證이 된다【의학입문】. ◯ 지나치게 땀을 내면 양이 허해져 [피모가] 굳지 못하며 땀을 많이 흘리면 진액을 잃어 오줌 누기가 어렵다. "팔다리는 모든 양의 근본이다"라고 하였고, "진액이 빠져나가면 뼈나 관절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것이 매끄럽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망양증이 되면] 팔다리..

陰汗 음한 음한은 신腎이 허하고 양기가 쇠하기 때문에 난다. 국방안신환을 쓴다(처방은 「요문腰門」에 있다). ○ 음한이 그치지 않으면 소안신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쓴다. 오래 묵어서 마른 된장을 끓여 소금을 약간 넣고 그것으로 대산원을 먹는 것도 좋다. ○ 다른 방법은 사상자(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 백반, 묵은 된장을 달인 물로 땀나는 곳을 씻는다(『세의득효방』). ○ 음낭에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밀타승을 아주 곱게 가루낸 것과 합분을 섞어서 땀나는 곳에 두드려 바른다(『단계심법부여』). ○ 음한에는 노감석 두 돈 반, 방분 · 황련 · 오배자 각 한 돈 두 푼 반을 가루내어 쓰는데, 먼저 노봉방과 대복피 달인 물로 씻은 뒤에 바른다(『인재직지』).

手足汗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은 진액이 위胃로부터 몸의 겉에 이르기 때문에 손발에서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이다. 열이 위에서 모여 [진액을] 밀쳐나오는 것은 양명증이다. 대시호탕(처방은 「한문寒門」에 있다)으로 설사시킨다(『의학입문』). ○ 손발에서 땀이 나서 황금 · 황련 · 황백과 보하는 약을 같이 썼으나 모두 효과가 없었다. 그 뒤에 팔물탕에 반하와 복령을 더하여 군약으로 하고, 백부자와 천오를 좌약과 사약으로 하여 복용시켰더니 땀이 곧 멎었다(『의학강목』). ○ 발에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은 백반과 건갈 각 다섯 돈을 가루내어 물 세 사발을 넣고 10여 번 끓어오르게 달여 [그 물로] 날마다 발을 씻고 싸매는데, 사흘에서 닷새 동안 하면 저절로 그친다(『보제본사방』)..

心汗 심한 심한心汗은 다른 곳에서는 땀이 나지 않고 오직 심장 부위에서만 땀이 난다. 생각을 많이 하면 땀 역시 많이 나는데 이는 심에 병이 있는 것이다. 진애탕을 쓴다(『단계심법』). ○ 생각을 지나치게 많이 하여 심장 부위에서만 땀이 나게 되면 진애탕을 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뽕나무의 두 번째 푸른 잎을 이슬을 머금은 채로 딴 다음 그늘에서 약한 불로 말린다. 이를 가루내어 두 돈씩 빈속에 미음에 타서 먹는다. 이것은 도한도 그치게 한다(『의학입문』). ○ 심한과 액한腋汗은 어른의 경우에는 심혈心血이 지나치게 왕성하여 생긴다. 얼굴이 할상 붉은 것은 이 때문이다. 어린아이는 놀라서 생긴다. 어떤 사람이 심장 부위와 겨드랑이에서 도한이 나서 그치지 않았는데, 삼귀요자를 써서 심혈을 수렴시키니 곧 나..

頭汗 머리에서 땀이 나는 것 머리는 모든 양경陽經이 모이는 곳이다. 그러므로 사기가 모든 양경에 침입하여 진액이 위로 모이게 되면 머리에서 땀이 난다(『상한명리론』). ○ 머리는 삼양경三陽經이 모이는 곳이다. 삼음맥은 가슴에 다다랐다가 돌아간다. 머리에서 땀이 나는 것은 양이 허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땀이 나는 것은 양이 미약하기 때문에 나는 것이지 음증으로 땀이 나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보제본사방』). ○ 머리에서 땀이 나고 목까지 돌아가며 땀이 나는 것은 혈증血證인데, 이마에서 땀이 더 많이 난다. 머리는 육양경六陽經이 모이는 곳이므로, 열기가 훈증하여 땀이 나는 것이다. [땀이 나는] 부위를 나누어 말하자면 턱은 신腎에 속하고, 이마는 심心에 속한다. 삼초의 화火가 신수를 마르게 하면 [腎..

童子盜汗 어린아이의 도한 어떤 어린아이가 갓난아기 때부터 소년 때까지 7년 동안 도한을 흘려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가 없었는데, 양격산과 삼황원(처방은 모두 「화문」에 있다)을 3일 동안 쓰자 나았다. 대개 신腎은 오액五液을 주관하여 오습五濕으로 변화시키는데, 상화相火가 신腎을 핍박하면 신수腎水는 위로 올라가 심心이 허한 틈을 타서 수소음경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심화心火가 타올라 폐로 들어간다. 이것은 자기를 이기지 못하는 것[所不勝]을 업신여긴 것이다. 피모皮毛는 이 때문에 열리고 땀구멍이 닫히지 않으므로 땀을 흘리게 된다. 먼저 양격산을 써서 가슴속의 상화를 덜고, 다음으로 삼황환을 써서 심화를 덜어 음분을 도우면 신수가 제자리[腎]로 돌아가 땀이 저절로 멎는다(해장).

盜汗 도한 『내경』에서는 "신腎이 병들면 침한寢汗이 나고 바람을 싫어한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註에서 "침한은 도한이다"라고 하였고, 성무기는 "도한이라는 것은 잠잘 때만 땀이 나고 깨어나면 그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도한은 잠자는 동안 온몸에 목욕한 것같이 땀이 나는데, 깨어나서야 땀이 난 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도한은] 음허증에 속하고 영혈榮血이 주관하는 것이므로, 음을 보하고 화火를 내려야 한다(『의학정전』). ○ 도한은 음이 허하여 생기는 것으로, 혈이 허하고 화가 있는 것이다. 당귀육황탕을 쓰면 매우 잘 낫는다. 또는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모 · 황백을 더하여 쓰는데, 기가 허하면 인삼 · 백출 · 황기를 더하여 쓴다(『단계심법』). ○ 도한이 나는데 신화腎火가 몹시 요동..

自汗 자한 자한이란 때없이 [땀이] 축축하게 나고 움직이면 더 심해지는데, 양허에 속하고 이는 위기胃氣로 인한 것이다. 치료법은 양을 보하고 위胃를 고르게 하여야 한다(『의학정전』). ○ 『영추』에서는 "위기는 주리를 충실하게 하고, 땀구멍을 열고 닫게 하는 일을 맡고 있다"고 하였다. 위기가 허하면 주리가 성기게 되고, 땀구멍을 열고 닫지 못하여 땀이 나게 된다. ○ 『내경』에서는 "땀이 몸의 반쪽에서만 나면 반쪽을 쓰지 못하고 야위게 된다"고 하였다. ○ 땀을 많이 흘리고 몸이 늘어지는 것은 습증濕證이다. 심心은 열熱을 주관하고, 비는 습濕을 주관하는데, 습과 열이 서로 부딪쳐 땀을 흘리는 것이 마치 땅의 증기가 구름, 비, 안개, 이슬이 되는 것과 같다. 조위탕과 옥병풍산을 쓴다. 위胃에 열이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