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汗因濕熱 습열로 인하여 땀이 나는 것 『내경』에서는 "[진액은] 심心에서는 땀이 된다"고 하였고, 또 "양이 음에 더해진 것을 땀이라고 한다[음맥의 부위에 양맥이 나타나면 땀이 난다]"고 하였다. 왕빙은 주석에서 "양기가 위로 치받는데, 음이 이를 막으면 [양이 음을] 쪄서 땀이 난다"고 하였다. 또 "양의 땀은 천지의 비[雨]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 『난경』에서는 "신腎의 사기가 심心에 침입하면 땀이 난다"고 하였다. ○ 땀은 심이 주관하는 액이므로 심이 동動하면 두려워하면서 땀이 난다(『고금의감』). ○ 심은 군화君火이고, 비위脾胃는 토土에 속하므로 습濕과 열熱이 서로 부딪쳐 땀이 나는 것이 분명하다. 이는 시루에서 소주를 내리는 것과 같으니, 불로 훈증하지 않는다면 땀이 생길 수 없다(『의..

津液 : 脈法 진액 맥법 『내경』에서는 "척부尺膚가 껄끄럽고, 척맥尺脈이 활滑한 것을 '다한多汗'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왕빙은 주석註釋에서 "척부가 껄끄럽고 척맥이 활滑한 것은 자한自汗이 많이 나서 혈血이 마르고 진津이 없어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 맥이 대大하면서 허虛하거나 부浮하면서 유濡한 것은 한증汗證이다(『의학정전』). ○ 『맥결』에서는 "한증의 맥은 부浮, 허虛하거나 삽澁하거나 유濡, 연軟, 산散, 홍洪, 대大한데, 목이 말라 물을 있는 대로 다 마신다"고 하였다. ○ 간맥肝脈은 [汗證의 맥은] 부浮하며 허虛하거나 유濡하거나 삽澁하다. 자한의 맥상은 촌부寸部에 나타나고, 도한盜汗의 맥상은 척부尺部에 나타난다(『만병회춘』). ○ 『맥경』에서는 "보통 남자의 맥이 허虛, 약弱, 미微, 세細하면 ..

腎主液 신은 액을 주관한다 『난경』에서는 "신腎은 오액五液을 주관하는데 [진액은] 오장으로 나뉘어져 변화한다. 간에 들어가면 눈물이 되고, 심에 들어가면 땀이 되고, 비에 들어가면 연涎[맑은 침]이 되고, 폐에 들어가면 콧물이 되고, 신에 들어가면 타唾[침]가 된다"고 하였다. ○ 『영추』에서는 "오장에서 액이 변화하는데, 심에서는 땀이 되고, 폐에서는 콧물이 되고, 간에서는 눈물이 되고, 비에서는 연涎이 되고, 신에서는 타唾가 된다. 이것이 오액이다"라고 하였다.

소금은 영양가가 아니다 빛소금요법, 박경진著 1) 먹는 것보다 배설이 더 중요하다. 동양에서는 예부터 禪과 敎를 분리하였다. 즉, 敎란 지식이나 정보를 넣는 작업이라면, 禪이란 잘못 들어간 지식이나 정보를 닦아내는 일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는 이 두 가지 일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 중에서 우선적인 것 또는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한결같이 禪이라고 말해왔다. 그래서 깨끗이 닦아내는 일의 필요성을 무수히 강조해왔던 것이다. 다른 비유로 말하자면, 우리가 쉬지 않고 呼吸을 하는데 그 호흡이란 들숨과 날숨으로 되어 있다. 즉, 몸속에 가스를 내보내는 것을 呼라고 했으며 이 역시 닦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呼를 우선하여 呼吸이라고 하여 좋은 공기를 들이마시는 吸보다 먼저 말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몸속에 ..

5대 신약 원리를 이용한 합성물 죽염 죽염요법, 김윤세著 황토의 독기가 극성을 부리고 살기殺氣로 화化해 가지고 모든 생물이 멸하는데 먼저 인간이 어떻게 되느냐? 그래 내가 5대 원리 속의 4대 원리를 이용하는데, 그게 첫째 서해안의 소금이라. 첫째 서해안의 소금은 태평양물이기 때문에 그건 우리 힘으로 말릴 수가 없어. 자원이 무궁무진해. 그래서 나는 그걸 가지고 구해야 되겠다! 소금 속의 모든 비밀을 내가 세밀히 아니까. 거기에서 인체에 해로운 걸 고열高熱로 처리해 가지고 사용하면 좋겠다는 걸. 공해독이 그 속엔 없어요. 또 대나무가 있는데 그 공해가 없는 게 대나무인데, 대나무가 25종류중에 왕대나무가 제일 좋은데. 그거 왜 그러냐? 왕대나무 죽력竹瀝은 시월 달에, 시월 달에 죽력을 냅니다. 그건 왕대..

소금의 짠 맛은 금성에서 오는 백금白金기운 때문 죽염요법, 김윤세著 금생수金生水의 원리로 북방北方의 흑색黑色이 들어오는데, 그 북방의 흑색은 흑기黑氣. 흑기가 들어오는데 흑기가 황기黃氣를 만날 때 뭐이 되느냐? 흑색소黑色素로 화하는데 그 흑색소는 인간의 장부나 동물의 장부에는 콩팥인데, 그 수가 동물세계에서는 단 콩팥 하나인데 북방에서 들어올 때에 물 '수'자 수성水星에서 들어오는데, 그 수성기운水星氣運이 들어와 가지고 콩팥 하나를 이루면서 그 속에 따라서 부수되는 조직물이 상당히 많은데, 뼈도 거기서 시작하는 거고. 모든 염분이 소금이 거기서 시작하는데. 그러면 북방수성北方水星에서 염분이 시작할 적에 금성金星에서 들어오는 백금기운이 흑기를 따르면 염분으로 변하는데 그 색소가 흑색이 염분으로 변하면 그건..

소금은 살아있는 생명 빛소금요법, 박경진著 우리 인간은 모두 자아, 육체 그리고 정신이라는 3차원으로 되어 있다. 소금에게서도 인간처럼 3차원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첫째, 뜨거움이다. 뜨거움은 사랑이다. 사랑이란, 자아인 것이다. 둘째, 짠맛이다. 짠맛은 소금자체로 곧 육체이다. 셋째, 밝음이다. 밝음과 색깔은 빛이며 곧 정신인 것이다. 그래서 소금도 생명임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모든 색깔이 빛을 만나면 어둠 속에서 살아나듯이 모든 건강은 소금인 짠맛을 만나므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모든 생명은 사랑을 만남으로 다시 태어난다. 소금에도 자아인 뜨거운 사랑이 있고 육체인 짠맛이 있으며 정신인 밝음이 있음을 우리는 분명히 깨달아야 한다. 그러므로 살아있는 소금을 만나 하나가 되면 생명력이 강해지고 죽은 ..

독기를 제거할 때 사용한 소금 빛소금요법, 박경진著 이상 설명으로 죽은 소금의 유해성이 증명되었으며 빛소금은 독소를 끌어당기는 힘을 소유하였음을 우리는 알 수 있었다. 또한 바닷물에서 막 만들어낸 소금이 왜 인체에 해로운 가에 대해 약간의 이해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금도 정제방법에 따라서 불순물을 닦아내는 힘이 강한 소금으로 만들 수 있음도 아울러 알아야 한다. 그래서 예부터 소금은 독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해 왔다. 예를 들어 본다면, 1. 연탄이나 숯불에서 가스가 날 때 소금을 뿌려서 제거했다. 2. 사람이 죽어 장사를 지내고 오면 소금을 몸에 뿌려 死氣를 제거했다. 3. 문둥이나 더러운 사람이 왔다 갔어도 소금을 뿌리고 냄새를 제거했다. 이와 같이 소금이 분명히 인체에 해로운 독을 닦아내기 ..

차고 탁한 것을 끌어당기는 소금의 본성 빛소금요법, 박경진著 이제 ‘소금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의 2번째 관문을 열어보기로 하자. 물질의 불변 법칙과 동양의 易 법칙에서 찬 것은 뜨거운 것으로 흐르고 뜨거운 것은 찬 것으로 흐르고 있다. 이것이 현실적으로 나타나서 4時인 아침, 낮, 저녁, 밤이 있는 것이며, 4계절인 春, 夏, 秋, 冬이 흐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여자는 남자를 좋아하고 남자는 여자를 좋아하는 것이며, 추운 때는 더운 곳을 찾고 더울 때는 시원한 곳을 찾아 모든 생명이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이 세상 모두가 이 법칙아래 움직이고 있다. 그러므로 빛이란 뜨거움이 어둠이란 차가움을 끌어당기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순수소금인 빛소금은 더러운 독을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 이러한 대원..

소금은 곧 빛 빛소금요법, 박경진著 자! 이제 바다 속에서 뽑아낸 소금은 태양 속에 있는 소금에 비하면 얼마나 더러운 것인지 분명히 알았으리라 생각한다. 우리는 이러한 중요한 사실을 입증할만한 사실을 지구에서 얼마든지 찾아 볼 수 있다. 중국에 가면 청해라는 바다가 해발 4000m의 고원에 있다. 그 주위에는 소금으로 된 호수가 여기저기에 있다. 그 호수의 특징은 물이 호수로 흘러들어오지만 밖으로 나가는 강이 없다. 쉽게 설명하면 백두산천지처럼 압록강, 두만강으로 흘러넘치는 호수가 아니고 반대로 모든 물이 흘러들어와 증발만 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다도 따지고 보면, 커다란 호수이며 모든 물이 흘러들어 오고 나가는 곳은 오직 증발뿐이다. 수많은 세월동안 햇빛, 별빛, 달빛이 지나며 뿌려놓은 소금이 조금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