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汗因濕熱 습열로 인하여 땀이 나는 것

『내경』에서는 "[진액은] 심心에서는 땀이 된다"고 하였고, 또 "양이 음에 더해진 것을 땀이라고 한다[음맥의 부위에 양맥이 나타나면 땀이 난다]"고 하였다. 왕빙은 주석에서 "양기가 위로 치받는데, 음이 이를 막으면 [양이 음을] 쪄서 땀이 난다"고 하였다. 또 "양의 땀은 천지의 비[雨]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 『난경』에서는 "신腎의 사기가 심心에 침입하면 땀이 난다"고 하였다.

○ 땀은 심이 주관하는 액이므로 심이 동動하면 두려워하면서 땀이 난다(『고금의감』).

○ 심은 군화君火이고, 비위脾胃는 토土에 속하므로 습濕과 열熱이 서로 부딪쳐 땀이 나는 것이 분명하다. 이는 시루에서 소주를 내리는 것과 같으니, 불로 훈증하지 않는다면 땀이 생길 수 없다(『의학정전』).

○ 『내경』에서는 "음식을 지나치게 배불리 먹으면 땀이 위胃에서 나오고, 놀라서 정기精氣를 잃으면 땀이 심心에서 나오고, 무거운 것을 지니고 먼 길을 가면 땀이 신腎에서 나오고, 빨리 달리거나 두려워하면 땀이 간에서 나오고, 몸을 움직여 지나치게 일하면 땀이 비脾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 위기衛氣가 허하면 땀을 많이 흘리고, 영혈榮血이 허하면 땀이 나지 않는다(『의학강목』).

○ 풍병風病에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풍이 기를 흩어지게 하기 때문이다(자세한 것은 「풍문」에 있다). 담증痰證에도 역시 땀이 나고 머리가 어지럽고 구역이 나는 데는 궁하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 화기火氣가 위로 위胃 속의 습을 훈증하여도 땀이 나는데, 양격산(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이 주치한다(『단계심법』).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