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血病吉凶 혈병에서의 길함과 흉함

혈이 [원래 돌아야 할 길을] 거슬러 돌면 치료가 어렵고 제대로 돌면 치료가 쉽다. 열이 올랐다 내렸다 하지 않으면 병이 가볍고, 열이 올랐다 내렸다 하면 병이 위중한데, 열이 심하게 올랐다 내렸다 하면서 맥이 대大하면 죽게 된다. 또 "구규九竅에서 피가 나오고 몸에서 열이 나서 잠을 자지 못하면 곧 죽게 된다", "혈증血證에서 양陽이 왕성하면 몸에서 열이 나고 대개 갈증이 나며, 음陰이 왕성하면 몸이 차고 갈증은 나지 않는데, 혈은 음이므로 몸이 차면 쉽게 낫는다", "심과 폐의 맥이 터져서 피가 마치 솟구치듯이 입과 코로 나오게 되면 치료할 수 없다"고 하였다(『의학입문』).

○ 『영추』에서는 "방탕하여 몸이 초췌해지고 몸에 열이 나면서 낯빛이 창백한데다가 응어리진 피똥을 싸는데, 검붉은 피똥은 병이 위중한 것으로 역증이다"라고 하였다. 또 "코피가 멎지 않으며 맥이 대大한 것은 역증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기침이 나면서 피오줌이 나오며 살이 야위고 맥이 조금 세게[小勁] 나타나는 것은 역증이다"라고 하였다. 또 "피를 게우면서 가슴이 그득하고 등이 당기면서 맥이 소小하고 빠른 것은 역증이다"라고 하였다. 또 "배가 불러오르고 대변에 피가 나오면서 맥이 대大하고 때때로 끊어지는 것은 역증이다"라고 하였다. 또 "기침이 나고 오줌에 피가 나오며 몸이 야위고 쇠약하며 맥이 박搏하면 역증이다"라고 하였다.

○ 이고는 "모든 출혈 증상에서 몸에 열이 나고 맥이 대大한 것은 치료가 어려운데, 치료가 어려운 것은 사기邪氣가 [정기를] 이겼기 때문이다. 몸이 차고 맥이 고요한 것은 치료가 쉬운데, 치료가 쉬운 것은 정기가 회복되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혈이 넘쳐나서 위로 오르면 타혈唾血이나 구혈嘔血 혹은 토혈吐血하는데, 모두 흉증凶證이다. 만약 [혈의 흐름이] 바뀌어 아래로 내려가 심한 이질[惡痢]이 되면 순증順證이다. 혈이 위로 오르는 것은 역증이므로 치료가 어렵고, 아래로 내려가는 것은 순증이므로 치료가 쉽다"고 하였다. 그래서 장기張機는 "축혈증으로 하혈하는 것은 저절로 낫기 마련이다. 만약 병이 없던 사람이 갑자기 피 설사를 하면 그 병은 더 진행될 것이다. 혈증을 앓는데 위로 피가 나오다가 다시 아래로 나와 심한 이질이 되면, 이는 사기가 빠져나가려고 하는 것이므로 길증吉證임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 장기는 "피를 토하고 기침하고 숨이 가쁘며 맥이 삭數하고 열이 있으면서 누워 있을 수가 없으면 죽게 된다"고 하였다.

○ 이유 없이 갑자기 어혈이 쏟아져내리는 것을 심절心絶이라 하는데, 치료가 어렵다.

○ 상한傷寒의 태양증太陽證에서 코피가 나면 병이 나으려 하는 것이고, 열이 방광에 뭉쳐 피가 저절로 아래로 나오는 것도 역시 나으려는 것이다. 이것으로 살펴보면 다른 병으로 열이 잠복하여 있는 사람이 상초에 어혈과 열이 있어 토하는 것 역시 그 병이 나으려는 것이다. 비록 피를 이미 토하였더라도 저절로 그치면 괜찮다(『인재직지』).

728x90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