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신이 삼가 사람의 몸을 살펴보건대, 안으로는 오장육부가 있고 밖으로는 근과 골, 기肌와 육肉, 혈과 맥, 그리고 피부가 있어서 그 형체를 이룬다.
그런데 정기신精氣神이 또한 장부와 백체百體의 주主가 되니, 그렇기 때문에 도가의 삼요三要와 불교의 사대四大가 모두 이를 말하는 것이다. <황정경>에 '내경內景'이라는 글이 있고, 의서에도 역시 내경과 외경의 형상을 담은 그림이 있다.
도가에서는 청정淸淨과 수양을 근본으로 삼고 의가[醫門]에서는 약과 식이食餌, 침구로써 치료를 하니, 도가는 그 정미로움[精]을 얻었고, 의가는 그 거칠음[粗]을 얻은 것이다.
이에 이 책은 먼저 내경인 정기신과 장부를 '내편內篇'으로 삼고 그 다음 외경인 머리, 얼굴, 수족, 근과 맥, 골과 육을 모아 '외편'으로 삼았다. 또한 오운육기와 사상四象, 세가지 치료법[三法], 내상內傷과 외감外感, 여러 병의 증상을 모아서 열거하여 '잡편'으로 삼고, 마지막에 '탕액'과 '침구'를 붙여 그 변화를 다하였으니, 병든 사람으로 하여금 책을 펴보게 하면 (병의) 허실과 경중輕重, 길흉吉凶과 생사生死의 조짐이 물이나 거울에 비친 것처럼 분명하여, 잘못 치료하여 요절하게 하는 우환이 거의 없을 것이다.
728x90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보감] 사람이 제 수명을 다하거나... (0) | 2023.02.03 |
---|---|
[동의보감] 제 수명을 다하거나 못 하는 것의 차이 (0) | 2023.02.03 |
[동의보감] 신형장부도 (0) | 2023.02.03 |
동의보감 서문 (0) | 2023.02.03 |
동의보감 0001 (0) | 2023.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