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常法治驚 평범한 방법으로 놀라는 것을 치료한다

어떤 부인이 밤에 도둑을 만나 놀란 뒤부터 무슨 소리만 들어도 놀라서 넘어지고 정신을 잃었다. 의시가 심병으로 보고 치료를 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장종정이 이를 보고 "놀란 것은 양증陽症으로 밖으로부터 들어오기 때문에 생긴 것이며, 무서워하는 것은 음증陰症으로 안에서 나오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놀라는 것은 자신이 알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고, 무서워하는 것은 자신이 알기 때문에 생긴다. 담膽에서 용감함이 나오는데, 놀라고 두려워하면 담을 상한다"고 하면서

곧 [두 시녀에게 그 부인의] 양손을 잡아 의자 위에 올려 놓게 하고, 바로 그 앞에 상자 하나를 놓고 말하기를 "낭자는 이것을 보고 있어야 한다"고 하면서 나무로 상자를 세게 치니 그 부인이 크게 놀랐다. 조금 지난 후 다시 책상을 치니 조금 덜 놀랐다. 연달아 4, 5번을 치니 그 후에는 서서히 안정되었다.

부인이 감탄하여 "이것은 무슨 치료법입니까" 하고 물었다. 장종정이 "놀란 것은 평平하게 하여야 하는데, 평하다는 것은 평범하다[常]는 말이다. 평범하게 늘 보면 놀라는 일이 없다"고 하였다.

그날 밤 창문을 두드려도 초저녁부터 아침까지 깊이 잠들어서 아무 소리도 듣지 못하였다. 놀라면 신神이 위로 뜬다. 상자를 아래에 놓고 쳐서 이를 내려다보게 한 것은 신을 거두어들이기 위한 것이다(장자화).

728x90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Total
Today
Yesterday